목차
서문

1부

총 론

국어과교육의 변화와 방향
1. 머리말
2. [국어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3. 2007 [국어과] 교육과정 개편의 내용과 변화
4. 맺음말


2부

고전시가교육

1장 고전시가 교육의 이해
1. 머리말
2. 고대시가
3. 향가
4. 속요
5. 시조와 가사
6. 맺음말

2장 고려가요의 작품 구조
1. 머리말
2. 속요의 작품 구조
3. 경기체가의 작품 구조
4. 맺음말

3장 고려가요의 자연 표상
1. 머리말
2. 고려가요의 자연 표상
3. 맺음말


3부

고전소설교육
1장 고전소설 교육의 전제와 실제
1. 머리말
2. [구운몽] 교육의 전제와 실제
3. [춘향전] 교육의 전제와 실제
4. 맺음말

2장 [남원고사]의 구성과 특징
1. 머리말
2. 전반부의 구성과 특징
3. 후반부의 구성과 특징
4. 맺음말

3장 [춘향전]의 비장과 골계
1. 머리말
2. 자료의 이해
3. 서사구조와 비장
4. 서술방식과 골계
5. 맺음말

4장 [춘향전]의 교수
1. 머리말
2. [춘향전]의 텍스트적 위상
3. [춘향전] 교수
4. 맺음말

5장 [흥보가]의 교수
1. 머리말
2. [흥보가]의 텍스트적 위상
3. [흥보가] 교수
4. 맺음말


4부

신화교육
1장 한국신화의 교육적 의의
1. 머리말
2. 신화 자료의 대상과 범위
3. 신화교육의 현황과 문제
4. 한국신화의 교육적 의의
5. 맺음말

2장 단군기사 자료의 검토
1. 머리말
2. 서술 구조의 측면
3. 서술 내용의 측면
4. 표현상의 차이
5. 맺음말

3장 단군신화 교육의 전제와 방법
1. 머리말
2. 자료의 실상과 이해
3. 단군신화의 교육적 전제(前提)
4. 단군신화 교육의 방법적 제안
5. 맺음말


5부

한국어교육
1장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
1. 머리말
2. 한국어 교육목표와 문화
3. 한국어 문화 교육의 내용
4. 한국어 문화 교육의 방법
5. 맺음말

2장 초급 한국어의 문화교육
1. 머리말
2. 초급 한국어 교재의 분석
3. 초급 한국어의 교육 목표
4. 초급 한국어의 문화교육 방법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