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세 개의 키워드로 본 고전시가 교육시공간적 거리감, 전유, 정서
1. ‘가르친 것’과 ‘배운 것’의 괴리
2. 고전시가 교육 담론과 ‘시공간적 거리감’
3. 전통론으로 회귀할 수 없는 이유
4. 학습자 중심주의의 맹점과 ‘전유(轉有)’
5. 전유의 결과로서의 ‘정서(情緖)’


제2장 시공간적 거리감
1. 시공간적 거리감의 개념
2. 시공간적 거리감을 극복한다는 것의 의미
3. 시공간적 거리감을 활용한 고전시가 감상


제3장 전유(轉有)
1. 전유의 개념
2. 텍스트를 전유한다는 것의 의미
3. 고전시가 전유의 사례-김소월의 「진달래꽃」
4. 전유된 텍스트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5. 시공간적 거리감과 능동적인 전유의 가능성


제4장 정서(情緖)
1. 정서의 개념
2. 텍스트의 정서를 전유한다는 것의 의미
3. 학습자의 ‘텍스트의 정서’ 전유 양상
4. 텍스트의 정서를 전유하는 절차


제5장 시공간적 거리감의 활용 능력과 장르 지식 교육
1. 실제 수업의 반성과 대안
2. 시공간의 인식틀로서의 ‘장르’
3. 정서 구축 방식으로서의 ‘장르’
4. 장르 지식을 활용한 상호텍스트적 읽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