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신한첩 에 대한 몇 가지 고찰/ 이종덕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007
숙명신한첩 의 국어학적 특징/ 박부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문리각연구소 연구교수 015
숙명신한첩 의 한글서예적 가치/ 정복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문생활사연구소 한글간찰팀
연구원 029
조선중기 전서의 유행과 그 의미/ 박준호 국립청주박물관 학예연구사 043
숙명신한첩 판독문/ 이종덕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 / 황문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057
-효종대왕 어서 058
-현종대왕 어서 078
-대왕대비(장렬왕후) 어서 082
-인선왕후 어서 086
-명성왕후 어서 192
찾아보기 194
숙명신한첩 에 대한 몇가지 고찰
1.신한첩의 체재와 성첩 시기
[사진] 김일근 교수가 장정한 표지 사진 008
2.발신자와 수신자 및 관련 인물
3.특기할 만한 내용
3-1.현종의 어인
3-2.문학 작품의 유통
숙명신한첩 의 국어학적 특징
1.서론
2.발신자 별 언어 특징
(표1) 숙명신한첩 에 수록된 각 발신자별 언간 목록 016
2-1.부모 세대 – 효종과 인선왕후의 언어
2-2.자녀 세대 – 명성왕후, 현종, 숙명공주의 언어
3.경어법 사용 양상
3-1.선어말어미 {ㅅ,ㅂ }의 사용 양상
3-2.상대경어법 사용 양상
4.어휘
5.결론
숙명신한첩 의 한글 서예적 가치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한글 편지를 대상으로-
1.머리말
2.숙명신한첩 의 구성과 체재
2-1.숙명신한첩 의 구성
(표1)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숙명신한첩 의 체재표 031
2-2.숙명신한첩 의 체재
(도1) 왕, 왕후의 끝말 끝 어휘의 배자 변화도 033
3.숙명신한첩 의 사료적 가치
3-1.왕래서신의 서예사적 배경
(도2) 효종 034
3-2.왕래서신의 성격
(도3) 인선왕후 (숙명-25) 036
(도4) 효종대왕 (숙명-08) 036
4.숙명신한첩 한글 서체의 미적 구현
(도5) 현종대왕 (숙명-10) 038
(도6) 16세기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편지 부분도 039
(도7) 장렬왕후 (숙명-13) 039
(도8) 인선왕후 (숙명-43) 039
(도9) 19세기 궁녀의 한글 편지 부분 040
(도10) 숙명공주 (숙명-05-1) 041
5.맺음말
조선중기 전서의 유행과 그 의미
1.서론
2.조선전기 전서의 흐름
2-1.훈민정음의 자방고전
[사진]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1464년, 국보 제292호, 월정사성보박물관 소장 045
2-2.전서의 유형 – 대전. 소전. 상방전
[사진] 안평대군, 영릉비, 전액, 금석청완 소장 046
[사진] 체천지보,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 소수,1464년, 국보 제292호, 월정사성보박물관 소장 046
3.조선중기 전서 학습서의 발간과 그 영향
3-1.전서 학습서의 발간 –전중용. 전대학
[사진] 전중용,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047
[사진] 전중용 의 박영 발문 047
[사진] 여이징, 익성군신도비명전액, 1643년 건립 048
[사진] 주지번이 쓴 성균관 명륜당 편액 048
[사진] 전대학,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048
[사진] 전대학 의 송시열 서문
3-2.중체전서의 유행
[사진] 전도전 으로 씌어진 하관계회도의 표제, 1541년 보물 제869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051
[사진] 하관계회도, 1541년, 보물 제869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051
[사진] 현종 인장 051
[사진] 김상헌 인장 051
4.조선중기 전서의 이해 방식 – 옥저전과 미전
[사진] 김상용, 문성공율곡이선생신도비명, 1631년 건립 052
[사진] 허목, 미수서첩, 17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052
[사진] 이정, 벽암대사비명 전액, 1664년 건립 053
[사진] 허목의 척주동해비의 “비”자 053
[사진] 이정영, 창빈안씨신도비 전액, 1683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 소장 054
[사진] 화양서원묘정비 전액, 1716년 건립 054
[사진] 이종악, 사물잠, 법흥 고성이씨 소장 허주부군산수유첩 소수 055
5.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