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를 펴내면서
우리말의 ‘역사 연구’와 ‘연구 역사’의 한 시각 / 김석득
1. 주제와 관련하여
2. 우리말의 역사 연구(국어사) 시각
3. 우리말의 연구사(국어학사) 기술의 시각
4. 맺음
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 이기문
國語史硏究와 한글資料 / 안병희
1. 머리말
2. 諺解의 樣式과 한글자료
3. 誤字와 校正
4. 原刊本과 重刊本
5. 맺음말
국어사 연구를 위한 전자자료 구축의 현황과 과제 / 홍윤표
1. 서론
2. 국어사 말뭉치 구축 현황
3. 입력 자료
4. 국어사 말뭉치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5. 국어사 말뭉치의 형식상 특징
6. 문헌자료의 약호
7. 검색 프로그램
8. 마무리
우리말 성조사 오백년 공백을 어떻게 메울 것인가? / 김차균
1. 머리말
2. 먼저 비교방언학의 방법으로
3. 대립과 중화에 바탕을 둔 성조 체계
4. 성조형과 음조형 실현의 규칙
5. 방점법의 발달 과정과 성조 표기의 통일
6. 음측형과 영남·영동 공통조어
7. 순행평성동화와 성조형의 단순화
8. 비성조방언으로 변천
9. 맺음말
시상법의 변천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 고영근
1. 들어가기
2. 시상법의 변천에 관한 인식의 발자취
3. ‘爲有’의 해독과 기능에 대한 인식의 발자취
4. 마무리
全羅北道 方言 硏究와 方言史 / 전광현
한국한자음의 몇 가지 특징 / 이돈주
1. 서 론
2. 내적 요인
3. 외적 요인
4. 속음화의 요인
5. 기타의 요인
6. 맺음말
현대 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 김민수
1. 서론: 시대구분과 국어사 연구의 관건
2. 현대 초기(1945-59), 2기(1960-79)
3. 현대 3기(1980-99)
4. 북한의 조선어사 연구사
5. 결론: 고대국어 연구의 남북 일치점
『훈민정음』「해례」의 설명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 / 강신항
1. 머리말
2.『훈민정음』「해례」와 『성리대전』
3.『훈민정음』「해례」에서 설명한 초성체계상의 몇 문제
4.『훈민정음』에서 예시한 중성체계상의 몇 문제
5. 성조
6. ‘成音’과 ‘字韻’의 뜻
7. 맺는 말
국어 표기법의 두 원리 / 이익섭
국어 표기법의 전개와 변천 / 지춘수
1. 머리말
2. 표기법의 규정
3. 15세기 표기의 몇 가지 문제
4. 국어 표기법의 전개
5. 16세기 국어의 표기
6. 17세기 이후의 표기
7. 마무르면서
近代國語 音韻史와 ‘가나’ 表記 資料 / 송 민
1. 머리말
2. 雨森芳洲의 朝鮮語 능력
3. 雨森芳洲의 조선어 인식
4. 『全一道人』의 ‘?’音 轉寫
5. 국어자료에 반영된 語頭 ‘?’음의 非音韻化
『석보상절 제24』와 『월인석보 제25』의 대비 연구 / 김영배
1. 서언
2. 합편 관련 근거
3. 합편의 실상
4. 결어
왜학서 자료에 대하여 / 정광
1. 조선 전기의 일본어 교재
2. 전기 왜학서의 출전과 유래
3. 弘治 5년(1492)판 『伊路波』
4.『經國大典』에 추가된 “『應永記』, 『雜筆』, 『富士』”
5. 結語
朝鮮版『千字文』에 대하여 / 후지모토 유키오
1. 前言
2. 小倉本本刊本에 대하여
3. 訓에 대하여
四字成語와 韓國語文法 / 심재기
1. 머리말
2. 四字成語 Ⅰ
3. 四字成語 Ⅱ
4. 四字成語 Ⅲ
5. 四字成語 Ⅳ
6. 마무리
國語 同義語의 通時的 考察 / 남성우
1. 序言
2. 名詞의 同義語
3. 動詞類의 同義語
4. 副詞의 同義語
5. 結語
지명 해석과 고어 탐색법 / 도수희
우륵의 고향 ‘省熱’은 어디인가 / 김종택
1. 고령·충주 그리고 우륵
2. 辛?는 省熱이 아니다
3. 언어학적 고증
5. 省熱은 가조면 석강리 ‘소새’마을이다.
韓國의 古代口訣資料와 그 變遷에 대하여 / 남풍현
1. 序論
2. 釋讀口訣
3. 順讀口訣
4. 結論
불경 언해에 나타난 구결의 변천 / 김문웅
1. 머리말
2. 부정법
3. 의문법
4. ‘與…’ 구문의 구결
5. 속격의 구결 ‘-ㅅ’
6. 목적어 표지 ‘-ㄴ?’
7. 그 밖에 소멸된 구결 형태
8. 맺음말
알타이어족의 비교언어학 / 송기중
1. 서론
2. 알타이어족
3. 역사비교언어학의 발달과 어족 성립의 모델, 비교방법
(Comparati ve Methods)
4. 알타이어족의 비교언어학
5. 결어 - 알타이제어 비교연구의 현황과 미래
이른바 알타이 조어의 모음 체계와 한국어 모음 체계 /김동소
1. 이른바 알타이 조어의 모음 체계
2. 고대 한국어의 모음 체계
3. 중세 한국어의 모음 체계
4. 맺는말
일본에서의 한국어 음운 연구 / 우메다 히로유키
일러두기
1. 현대어에 관한 연구
2. 음운사 연구의 제 문제
3. 앞으로의 전망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 연구 / 최윤갑
1. 현대 한국어 문법 연구
2. 중세 및 통시적 연구
중국에서의 한자음 연구 / 안병호
1. 머리말
2. 중국에서의 漢語音韻學의 연구
3. 中國에서의 韓國 漢字音의 연구
4. 맺는 말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를 펴내면서
우리말의 ‘역사 연구’와 ‘연구 역사’의 한 시각 / 김석득
1. 주제와 관련하여
2. 우리말의 역사 연구(국어사) 시각
3. 우리말의 연구사(국어학사) 기술의 시각
4. 맺음
국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 이기문
國語史硏究와 한글資料 / 안병희
1. 머리말
2. 諺解의 樣式과 한글자료
3. 誤字와 校正
4. 原刊本과 重刊本
5. 맺음말
국어사 연구를 위한 전자자료 구축의 현황과 과제 / 홍윤표
1. 서론
2. 국어사 말뭉치 구축 현황
3. 입력 자료
4. 국어사 말뭉치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5. 국어사 말뭉치의 형식상 특징
6. 문헌자료의 약호
7. 검색 프로그램
8. 마무리
우리말 성조사 오백년 공백을 어떻게 메울 것인가? / 김차균
1. 머리말
2. 먼저 비교방언학의 방법으로
3. 대립과 중화에 바탕을 둔 성조 체계
4. 성조형과 음조형 실현의 규칙
5. 방점법의 발달 과정과 성조 표기의 통일
6. 음측형과 영남·영동 공통조어
7. 순행평성동화와 성조형의 단순화
8. 비성조방언으로 변천
9. 맺음말
시상법의 변천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 고영근
1. 들어가기
2. 시상법의 변천에 관한 인식의 발자취
3. ‘爲有’의 해독과 기능에 대한 인식의 발자취
4. 마무리
全羅北道 方言 硏究와 方言史 / 전광현
한국한자음의 몇 가지 특징 / 이돈주
1. 서 론
2. 내적 요인
3. 외적 요인
4. 속음화의 요인
5. 기타의 요인
6. 맺음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