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우리는 어떻게 학문할 것인가
1. 한국인과 사람다움, 2. 인문학과 제나라 말, 3. 연구와 점수 따기, 4. 학문과 사는 일

01 첫째 벼리
삶의 문제

정현기: 갇힘과 가둠에 대하여, 하나

1. 머리말, 2. 갇혀 삶의 뜻, 3. 가두는 것들-믿음의 앞잡이 말과 글, 4. 맺는 말

정현기: 갇힘과 가둠에 대하여, 둘 - 최인훈의 ‘광장’ 속에 든 가둠과 갇힘 문제
1. 드는 말, 2. 가두는 자들과 갇히는 이들, 3. 문학작품 속에 들끓는 가둠과 갇힘, 4. 맺는 말

이은주: 기다림에 관한 짧은 생각 몇
1. 어머니의 기다림, 2. 아직 아님으로서의 기다림, 3. ‘바람’이 담긴 기다림 - 셈하며 재는 기다림, 4. 내맡기는 기다림 - 뜻을 새기는 기다림, 5. 그리움을 기다림

02 둘째 벼리
말글의 문제

홍윤표: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1. 시작하는 말, 2. 국어 어휘의 어원에 대한 관심, 3. 어원 연구의 세 방향, 4. 국어 어휘, 5. 고유어에 대한 어원 검토, 6. 외래어에 대한 어원 검토, 7. 민간어원설(民間語源說), 8. 국어 어원연구의 역사, 9. 어원 연구의 궁극적 목적, 10. 어원 연구의 과학적 방법, 11. 어원 연구를 위한 연구자의 국어학적 지식, 12. 어원 연구의 국어학 발전에 대한 기여, 13. 어원사전 편찬을 위한 준비 작업, 14. 어원사전의 기술 내용, 15. 맺는말

남성우: 국어 동의어의 통시적 연구
1. 서 론, 2. 명사의 동의어, 3. 동사류의 동의어, 4. 부사의 동의어, 5. 결론

한학성: 영어 교육적 관점에서 본 영어 구두점의 의미와 문법적 역할
1. 들어가기, 2. 영어 구두점과 의미, 3. 영어 구두점과 문법성, 4. 영어 구두점과 명확성, 5. 맺음말

김의규: 우리말 우리빛깔
바탕말의 바로쓰기

허시라: 한국음악의 소리깔 - 한국의 소리를 기록하는 기보법의 역사
1. 현재 전통음악의 기보법(정간보, 오선보), 2. 음정에 대한 기보(한자)를 단순화 시키려는 노력, 3. 한글 자음을 활용한 음 기호와 한글 구음보, 4. 한국인이 ‘음’을 대하는 방식, 5. 마치는 글

구연상: 서술과 상상력
가. 서술의 근본 형식, 나. 서술은 ‘매듭 풀이’다, 다. 상상력과 서술, 라. 풀어내기꼴의 갈래, 마. 끝맺기

03 셋째 벼리
학문하기의 문제

정대현: ‘우리 마누라’의 문법
1. 여는 말: 친밀성 가설은 충분하지 않다, 2. 상징성 가설, 3. 언어의 다원적 기능, 4. 지시성: 어귀 지시와 화자 지시, 5. 화자 지시성의 우선성: 대언적 우리 마누라, 대물적 우리 마누라, 6. 맺는 말: ‘우리 마누라’의 형이상학과 화용학

한규석, 최상진: 왜 마음인가? - 심리현상의 온전한 이해를 위하여
마음이란?: 생활에서 쓰이는 의미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과 그 차이, 대인관계 신뢰의 근거로서의 마음, 대인교류 재화로서의 마음, 심리현상의 온전한 이해를 위해: 마음과 생각, 맺음

최봉영: 퇴계학의 바탕으로서 한국말
1. 왜 퇴계의 말을 따지는가, 2. 퇴계와 주자, 3. 선비들이 한국말로써 한문을 배우고 씀, 4. 퇴계가 한국말로써 한문을 배우고 씀, 5. 퇴계가 心으로써 마음을 밝힘, 6. 퇴계가 주자를 넘어서 나감, 7. 뒷사람이 퇴계를 높이고 따름

임재해: 우리말 ‘본풀이’의 역사인식과 본풀이사관의 수립
1. 역사 서술의 시작과 구술사로서 ‘신화’, 2. 신화의 본디 모습인 본풀이의 존재양식과 메타역사, 3. 본풀이의 서사 내용과 역사 서술의 보기, 4. 신시와 고조선본풀이로 이루어진 ‘단군신화’, 5. 환웅의 신시본풀이가 민족사의 최초 건국사, 6. 본풀이사관의 세계관과 시대구분의 새 지평, 7. 본풀이사관의 현재적 역사서술과 미래사의 전망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