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제1부
''한국문학사''다시 읽기
역사, 소설, 그리고 역사소설
중용과 화해의 인간형을 기다리며-<삼대>의 조덕기
소설가는 왜 소설을 쓰는가-이청준, 김영현, 김영하의 경우

시는 컴퓨터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변화의 틈새에서의 문학
그래도 문학이 있어야 할 이유

제2부
병든 세상 껴안기-김원일 작품집 <물방울 하나 떨어지면>
자연애의 동화를 향한 꿈꾸기-김주영의 김동리문학상 수상작 <멸치>에 대하여
이념의 상잔, 민족의 해원-황석영 장편소설 <손님>
품위와 연민-고종석 소설집 <엘리아의 재야>
괴이한 기척에서 원초에의 기억으로-조경란 소설집 <코끼리를 찾아서>
원한의 역사와 화해의 전망-류영국 장편소설 <만월까지>
존재의 허구, 그 불길한 틈-김경욱 소설집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
가난한 시대의 서러운 삶-오상원, 이호철, 이문희, 박순녀, 조해일의 소설들
만인의 얼굴, 그 민족사적 벽화-고은의 <만인보>
기억으로 짓는 마법의 성-복거일 시집 <나이 들어가는 아내를 위한 자장가>
시간의 슬픔과 소멸의 아름다움-김윤배 시집<부론에서 길을 잃다>
문학의 원래와 화통의 정신-최원식 평론집 <문학의 귀환>

제3부
민족, 분단 극복, 그리고 세계 시민의 길
삶의 전기로서의 역사학을 위하여
한국 인문학 도서의 현황과 전망
나의 소중한 책들
호수공워에서 북한산을 바라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