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제

1. <논셜> ≪독립신문≫ 1호
2. <잡보> ≪독립신문≫ 26호
3. <국문론> 지석영 ≪大朝鮮獨立協會會報≫ 1호
4. <국문론> 주상호 ≪독립신문≫ 47호, 48호
5. <漢文字와 國文字의 損益如何> 신해영 ≪大朝鮮獨立協會會報≫ 15호

속편: <漢文字와 國文字의 損益如何(續)> 신해영 ≪大朝鮮獨立協會會報≫ 16호
6. <社說> ≪皇城新聞≫ 1호
7. <국문론> 주상호 ≪독립신문≫ 134호, 135호
8. <國文漢文論> ≪皇城新聞≫ 20호
9. <國文原流> ≪皇城新聞≫ 96호, 97호
10. <타국 글 아니라> ≪독립신문≫ 112호
11. <두 가지 힘> ≪독립신문≫ 202호
12. <國文一定法意見書> 이능화 ≪皇城新聞≫ 2615호, 2616호 / ≪大韓自强會月報≫ 6호
13. <國文源流> ≪少年韓半島≫ 1호
14. <국어와 국문의 필요> 주시경 ≪西友≫ 2호
15. <國文便利 及 漢文弊害의 說> 강전 ≪太極學報≫ 6호

속편: <國文便利 及 漢文弊害의 說(續)> 강전 ≪太極學報≫ 7호
16. <國語維持論> 박태서 ≪夜雷≫ 1호
17. <國文과 漢文의 關係> 한흥교 ≪大韓留學生會學報≫ 1호
18. <必尙自國文言> 주시경 ≪皇城新聞≫ 2442호, 2447호
19. <국문론> 심자 ≪京鄕新聞≫ 30호, 31호
20. <국민신보 발간> ≪大韓每日申報≫ 1호
21. <大韓國文說> 지석영 ≪大韓自强會月報≫ 11호

속편: <大韓國文說> 지석영 ≪大韓自强會月報≫ 13호
22. <敎授와 敎科에 對야> 장응진 ≪太極學報≫ 13호

속편: <敎授와 敎科에 對야> 장응진 ≪太極學報≫ 14호
23. <학문> 박일삼 ≪自新報≫ 1호
24. <漢字統一會開設에 關 議見> ≪西友≫ 13호

속편: <漢字統一會開設에 關 議見> ≪西友≫ 14호
25. <音響 니야기> 연구생 ≪太極學報≫ 16호
26. <論漢文國文> 여규형 ≪大東學會月報≫ 1호8
27. <國文과 漢文의 過渡時代> 이보경 ≪太極學報≫ 21호
28. <漢文과 國文의 辨別> 정교 ≪大東學會月報≫ 4호
29. <論國文> 이종일 ≪大韓協會會報≫ 2호
30. <國漢文論> 이승교 ≪西北學會月報≫ 1호
31. <小學敎育에 對 意見> 유길준 ≪皇城新聞≫, 2799호
32. <一斧劈破> 이기 ≪湖南學報≫ 1호

속편1: <一斧劈破> 이기 ≪湖南學報≫ 2호

부록1: <與呂荷亭書> 황희성 ≪湖南學報≫ 2호
부록2: <國漢文輕重論> 매일신보 ≪湖南學報≫ 2호

속편2: <一斧劈破> 이기 ≪湖南學報≫ 3호
33. <文法을 宜統一> 신채호 ≪畿湖興學報≫ 5호

부록: <小別漢文> 규표자 ≪畿湖興學報≫ 5호
34. <語學의 性質> 원석산인 ≪大韓協會會報≫ 11호
35. <한나라 말> 주시경 ≪普中親睦會報≫ 1호
36. <今日我韓用文에 對야> 이광수 ≪皇城新聞≫ 3430호, 3431호, 343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