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부 문제
1장 l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자화상
1. 참여와 대표의 위기
2. 보수적 민주주의의 사회적 결과
3.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2부 보수적 민주주의의 기원
2장 l 국가 형성과 조숙한 민주주의
1. 민중 동원의 사회와 강력한 국가의 탄생
2. 이념적 양극화에 따른 정치적 대립 축의 전치
3. 권력의 중앙 집중화와 관료 국가
4. 이념적으로 협애한 정당 체제의 형성
5. 한국의 ‘세자리즘’과 일본의 ‘55년 체제’
6. 조숙한 민주주의의 효과
7. 냉전 반공주의와 한국 민주주의

3장 l 권위주의적 산업화와 운동에 의한 민주화
1. 박정희식 발전 모델의 특성은 무엇인가?
2. 박정희 정권의 사회적 지지 세력은 누구인가?
3. 민주주의를 위한 공간을 여는 문제

4장 l 민주화 이행의 보수적 종결과 지역 정당 체제
1. 한국에서의 민주화 이행의 특징
2. ‘협약’에 의한 민주화와 지역 정당 체제의 형성
3. 민주화가 보수적으로 종결된 이유

3부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구조와 변화

5장 l 민주화 이후의 국가
1. 민주화 이후 강력한 국가, 무력한 정부의 문제
2. 무력한 정부와 관료제의 문제
3. 민주화와 대통령제의 문제
4. 민주화와 중앙집권화의 문제

6장 l 민주화 이후의 시장
1. 민주화와 시장의 개혁
2. 민주화는 권위주의 시장구조를 변화시켰는가?
3. IMF 세계화와 경제개혁

7장 l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
1. 한국의 시민사회는 어떤 맥락에서 어떤 내용으로 형성되었나
2. ‘국가에 반하는 시민사회’ 테제에 관하여
3. ‘시민사회 대 시민사회’ 테제의 제기
4. 시민사회의 약화와 한국 민주주의


4부 결론

8장 l 민주주의의 민주화
1. 보수적 민주화
2. 갈등의 억압과 대안의 배제
3. 갈등의 사유화에서 갈등의 사회화로
4. 유권자 편성 구조의 변화와 경직된 정당 체제
5. 신자유주의적 민주주의로의 쇠퇴
6. 슈퍼 재벌의 등장과 민주주의의 변형
7. 제도 문제,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 그리고 헌정주의
8. 민주주의도 능력 있는 정부를 필요로 하는 이유
9.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