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어판 서문> 마키아벨리의 정치철학적 도전과 성취 _최장집

1장 왜 마키아벨리인가 11
2장 마키아벨리의 생애 17
3장 국가의 새 비전 24
4장 정치적 현실주의 41
5장 민주적 공화주의 59
6장 맺는말 : 한국 정치를 생각하며 86

제2부 <텍스트 읽기> 『군주론』 _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 박상훈 옮김

『군주론』 읽기를 시작하며 99


1막 헌정의 편지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105


2막 국가를 장악하고 통치하는 문제에 관하여 113

1장 군주국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떤 방식으로 획득되는가 115
2장 세습 군주국에 대하여 123
3장 혼합 군주국에 대하여 130
4장 알렉산드로스에게 정복당했던 다리우스 왕국은 왜 대왕이 죽은 후
그의 후계자들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155
5장 점령되기 전에 자신들의 법에 따라 살아온 자치 도시나 군주국은 어떻게
통치해야 하는가 163
6장 자신의 군대와 자신의 비르투로 획득한 신생 군주국에 대하여 170
7장 타인의 무력과 운명의 힘으로 획득한 신생 군주국에 대하여 182
8장 사악한 행동으로 군주국을 장악한 사람들에 대하여 203
9장 시민 군주국에 대하여 213
10장 군주국의 강함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나 222
11장 교회 군주국에 대하여 226


3막 민중을 조직하는 것의 중요성에 관하여 235

12장 군대의 다양한 종류와 용병에 대하여 237
13장 원군, 혼성군, 자국군에 대하여 247


4막 인간의 정치가 갖는 윤리성의 특별함에 관하여 259

15장 사람들, 그 가운데서도 특히 군주가 칭찬 또는 비난받는 일들에 관하여
16장 너그러운 씀씀이와 인색함에 관하여 265
17장 잔인함과 자비로움에 관하여, 그리고 사랑을 받는 것보다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이 나은지 아니면 그 반대가 나은지에 관하여 270
18장 군주의 신의는 어떤 방식으로 지켜져야 하는가 277
19장 경멸과 미움을 피하는 문제에 관하여 283
20장 요새를 구축하는 일과 군주들이 일상적으로 행하는 다른 많은 일들,
그것들은 유용한가 그렇지 않은가 302
21장 탁월한 존재로 여겨지려면 군주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311
22장 군주를 보좌하는 측근 신하에 관하여 319
23장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322
24장 이탈리아의 군주들은 왜 국가를 상실했는가 327


5막 오늘날 이탈리아에는 어떤 군주가 필요한가 331

25장 운명은 인간사에서 얼마나 강력하고, 인간은 운명에 어떻게 대항할
수 있는가 333
26장 이탈리아를 장악하여 야만족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기를 바라는 권고

『군주론』을 덮으며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