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만남(제1~12화)
1:당신네들은 어디서 왔소?
2:누구에게 한어를 배웠소?
3:한어 공부는 어땠나?
4:무엇 하러 한어를 배우는가?
5:한어 스승은 어떤 사림이었나?
6:동행합시다.
7:대도의 물가
8:오늘밤은 어디서 묵어요?
9:말먹이 값은 얼마?
10:비단과 무명 값
11:대도에서 얼마나 머물겠소?
12:동행 세 사람은 누구인가?


제2장 와점瓦店에서의 숙박(제13~29화)
13:말먹이 값
14:말꼴의 준비
15:저녁밥을 지어라.
16:고기 볶는 방법
17:숙박료의 계산
18:말먹이는 법
19:다리의 수리, 도적
20:강도(1)-큰 돌로 머리를 치다.
21:강도(2)-강도가 화살을 쏘다.
22:강도(3)-강도는 잡히다.
23:우물에서 물을 긷다.
24:여물은 밤에 주라.
25:누가 방을 지키나?
26:물 긷기
27:고려의 우물
28:말 끌어오기
29:우리 떠납니다.


제3장 자, 대도大都로(제30~50화)
30:아침밥을 지어먹다.
31:나그네를 불쌍히 여기다.
32:배불리 드셨나요?
33:나그네 대접은 세상인심
34:다음에는 꼭 저희 집에!
35:말 매고 짐 싸기
36:오늘밤 잘 곳을 찾자.
37:민박(1)-하룻밤 신세집시다.
38:민박(2)-우리 집에서는 묵지 못 합니다.
39:민박(3)-제발 하룻밤만 재워주세요!
40:민박(4)-수상한 자가 아닙니다.
41:민박 (5)-죽으로 요기하다.
42:민박(6)-흉년이라 힘들어요.
43:민박(7)-말먹이는 어떡하나?
44:민박(8)-교대로 말 돌보기
45:민박(9)-짐 꾸려 싣자.
46:하점(夏店)까지는 30리
47:夏店에서(1)-음식점에서 식사
48:夏店에서(2)-술집에서 한 잔
49:夏店에서(3)-형님 연세는 얼마?
50:夏店에서(4)-술값 계산


제4장 대도大都에서의 생활(제51화~84화)
51:순승문(順承門) 앞 관점(關店)
52:당신 여관에 숙박할 수 있소?
53:방금 도착했지.
54:이 말은 팔 건가?
55:고려에서 찾아온 친척
56:물건 값
57:가족들은 다 잘 있습니까?
58:동행하신 분은 누군가요?
59:다시 만나세.
60:말 파시오.
61:말의 종류
62:말 값
63:사겠소, 말겠소?
64:거간꾼
65:헌 돈은 필요 없소.
66:매매계약서를 쓰다.
67:말 매매 계약서
68:중개료와 세금
69:이 말은 물러주게.
70:양(羊)을 팔러 탁주(?州)로
71:밑지고 양을 팔다.
72:여러 가지 옷감
73:買段子(1)-옷감의 가격
74:買段子(2)-옷감의 치수
75:마구(馬具)를 사다.
76:활을 사다.
77:활 시울을 사다.
78:화살을 사다.
79:그릇 사기
80:가족 연회
81:수레 곳간에서
82:활쏘기 내기
83:중국요리
84:무슨 병인가?


제5장 사람 사는 도리(제85~95화)
85:인생을 즐기자.
86:성실하면 성공하고 속이면 실패한다.
87:친구 사귀기
88:상전 섬기기
89:친구는 서로 돕고
90:버린 자식(1)-방탕한 생활
91:버린 자식(2)-사철의 사치한 옷
92:버린 자식(3)-사철의 호화스런 띠
93:버린 자식(4)-멋쟁이 모자
94:버린 자식(5)-사철의 좋은 신발
95:버린 자식(6)-방탕아의 말로


제6장 고국을 향하여(제96화~106화)
96:이제 탁주(?州)로!
97:인삼을 팔다.
98:모시, 베를 팔다.
99:옷감의 치수가 달라요.
100:모시, 베의 값
101:지폐는 진짜인가?
102:귀국해 팔 물품(1)-가짜는 좋고 진짜는 싫다.
103:귀국해 팔 물품(2)-자그만 물품을 사다.(1)
104:돌아가 팔 물품(3)-자그만 물품을 사다.(2)
105:귀국할 길일(吉日)은?
106:또 만나요!


解題 {원본} 노걸대
1. 서론
2. 한반도에서 중국어 교육과 교재
2.1 고대시대의 한자 유입(流入)과 한문(漢文) 교육
2.2 중국 북방의 코이네(공통어)로서 한아언어(漢兒言語)
2.3 문어(文語)로서 몽문직역체와 이문(吏文)
2.4 사역원(司譯院)의 설치와 한어(漢語) 교육
3. '노걸대'의 편찬과 수정본의 간행
3.1 한어본(漢語本) '노걸대'의 변천
3.2 번역·언해본 '노걸대'
4. 원(元)과 고려의 통상(通商)
4.1 원(元)과의 교역(交易)
4.2 원(元)의 화폐(貨幣)와 물가
5. {원본} 노걸대의 장면 설정과 한어(漢語)
5.1 '노걸대'의 내용과 장면 설정
5.2 한아언어(漢兒言語)의 {원본} 노걸대
5.3 {원본(原本)}노걸대(老乞大)의 원대(元代) 한어(漢語)
6. 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