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부 한국어 수업의 새 길
1장 한국 문화로 수업하기

2장 국어 수업의 새 길을 여는 쓸모 있는 실마리
우리 문화로 수업하는 국어 수업의 새 길을 찾아서 연구 방법

3장 우리 문화로 수업하기의 자취와 글의 짜임


2부 한국 문화를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의 구조와 어휘
1장 한국 문화 속의 교수학습 구조 교수학습 구조의 형성 원리
우듬지싹 키우기 구조에 따른 단위 교수학습의 활동 내용
교수학습 설계의 독창적인 구조

2장 전통 문화에 기초한 교수학습의 용어
음절 단위에서의 삼수분화 요소
낱말 단위에서의 삼수분화 구성 요소
문장 단위에서의 삼수분화 구성 요소

3장 국어과 교수학습 용어의 확장과 형성
국어과 교수학습 용어의 성격
교수학습 용어의 확장과 형성


3부 전통문화를 활용한 교수학습
1장 삼태극 사고 구조를 활용한 교수학습
‘한’과 배움맞이
‘듬’과 알음알이
‘삼’과 새물내기
삼태극 문화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과정
단군 신화의 사고 구조로 본 교수학습의 사고 모형과 풀이씨

2장 '훈민정음'의 내용과 구조를 활용한 교수학습
훈민정음의 내용과 체계의 활용 방안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수업 얼개
한글문화를 활용하는 교수학습 과정과 수업 활동
한글문화를 활용하는 책 만들기 교수학습 과정
무늬를 활용한 훈민정음의 원리와 교수학습 과정
한글문화를 활용하는 국어(읽기) 교수학습 과정
'훈민정음'에 기초한 교수학습의 사고 모형과 풀이씨

3장 “짬듬갈”의 내용과 구조를 활용한 교수학습
계획하고 실천하는 ‘짬듬일’ 교수학습의 구조
“짬듬갈”의 창의적 내용과 교수학습
단위 수업에 알맞은 맞이/알이/내기
슬기틀(컴퓨터) 시대에 알맞은 용어 쓰기
이웃나라와 같은 보편 원리로 우리 교육과정 용어 바루기
풀이씨 활용 낱말 불리기 교수학습 과정
제철 말을 활용하는 어휘 불리기
입말이야기 활용 교수학습 과정
“짬듬갈”에 바탕을 둔 교수학습의 사고 모형과 풀이씨
“짬듬갈”의 내용체계를 바탕삼은 수업 실현의 과제


4부 선인들의 글쓰기 과정과 교수학습
1장 시조 쓰기를 중심으로 한 운문 교수학습
수업 과정으로 시조 쓰기
배움 갈책 만들기와 시조 쓰기
선인들의 도시道詩와 시 쓰기
아우르기 시조 짓기
사설시조 교수학습의 과정
몸소 배움이 시조가 되는 갈책 만들기

2장 선인들의 산문 쓰기와 편집 구조
선인들의 글쓰기 얼개를 바탕으로 한 글쓰기
미루어 헤아리는 독서와 갈책 만들기

3장 글쓰기 교수학습의 사고 모형과 풀이씨
미룸 과정 글쓰기의 사고 모형
풀이씨와 사고 모형의 용어 개념
풀이씨로 말하는 몸
미룸 글쓰기 교수학습 과정안을 마련하는 물음 길잡이 모형

4장 풀이씨가 드러내는 학습 소통의 은유화 양상
전통 문화의 내용과 체계에 따른 학습 소통의 은유화 양상
3수 분화 사고 방안과 교수학습 소통의 은유화 양상
문화 요소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과 용어의 공유 효과

5부 전통 문화에 기초한 교수학습의 진전 양상
1장 교수학습 과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구성
“짬듬갈”의 사고 구조와 수업벼름
‘물음대꾸’의 활용 본보기
교수학습 과정안을 마련하는 물음 길잡이 모형
교사의 수업이야기로 들여다보는 수업 과정
좋은 수업을 위한 교사 교육 체험 프로그램

2장 교수학습의 학업 성취도와 작품 분석
전통 한국 문화의 사고 구조를 적용한 교수학습과 지필평가
작품 분석으로 본 교수학습의 구체적 표현 양상

3장 교수학습 구조 및 용어의 이해와 적응에 관한 실증분석
설문조사방법과 변수자료의 설명
가설 설정과 실증분석 결과

6부 맺음말
1장 요약
2장 종합적 논의
3장 남은 문제


참고 문헌

부록 1. 토박이말 말 꾸러미
부록 2. 국어 한글문화 부림 교수학습 과정안
부록 3. 한국의 전통 문화에 바탕을 둔 교수학습 구조의 소통영역 풀이씨
부록 4. 배움 이야기
부록 5. 순우리말 달력 열두 달 이름과 이레 날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