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 총론: 한국어와 한국어학 | 홍종선
1. 한국어와 한국어학 | 4
2. 한국어학의 하위 분야 | 7
3. 한국어의 특징 | 9
01 음성학 | 신지영
1. 음성의 개념 | 14
2. 발음 기관 | 15
3. 음성 산출 과정 | 18
4. 분류 | 21
자음과 모음: 조음적 분류∙21 | 공명음과 장애음: 음향적 분류∙27
02 음운론 | 정명숙
1. 음운론의 개념 | 32
2. 국어의 분절음 체계 | 33
3. 국어의 운율 체계 | 37
4. 국어의 음운 규칙 | 44
음운론적 조건에 따른 음운 규칙∙45 | 형태론적 조건에 따른 규칙∙49
03 형태론 | 황화상
1. 단어와 형태소 | 60
단어∙61 | 형태소∙62
2. 형태소의 유형 | 63
3. 형태소와 형태, 이형태 교체 | 66
형태소와 형태∙66 | 이형태 교체∙67 | 기본형∙67
4. 형태소 분석 | 68
5. 단어 구조의 분석과 단어의 유형 | 71
단어 구조의 분석: 직접 구성 요소 분석∙71 | 단어의 구성 요소: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72 | 단어의 형태론적 유형∙74
6. 단어 형성 | 75
합성∙75 | 파생∙76
08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 변정민ㆍ유혜원
1. 피동 | 188
피동의 의미와 구성∙188 | 다양한 피동법∙189
2. 사동 | 193
사동의 의미와 구성∙193 | 다양한 사동 표현∙194
3. 높임법 | 197
주체 높임법∙198 | 객체 높임법∙201 | 상대 높임법∙201
4. 시제, 상 그리고 양태 | 203
5. 부정 표현 | 207
‘안’ 부정문∙208 | ‘못’ 부정문∙209 | ‘말다’ 부정문∙210
09 의미론 | 최경봉
1. 의미론이란? | 216
2. 의미의 의미 | 219
의미의 정의∙219 | 의미의 유형∙224
3. 의미의 분석 | 226
4. 의미의 관계 | 230
계열적 의미 관계∙230 | 결합적 의미 관계∙235
5. 의미의 체계 | 236
6. 의미의 변이 | 241
7. 의미의 해석 | 244
문장의 중의성∙245 | 함의와 전제∙246
10 화용론 | 이동혁
1. 화용론의 개념 | 252
2. 직시: 대상 지정하기 | 254
3. 화행: 발화의 실천적 기능, 발화의 행위 | 258
4. 함축: 숨겨진 뜻 | 261
11 방언학 | 김혜영ㆍ차준경
1. 방언의 개념과 가치 | 272
방언과 언어∙272 | 방언과 표준어∙273 | 방언의 가치∙276
2. 지역 방언의 특성 | 277
방언 구획∙277 | 지역 방언의 음운적 특성∙280 | 지역 방언의 어휘적 특성∙281 | 지역 방언의 문법적 특성∙283
3. 사회 방언의 특성 | 285
계층과 언어 변이∙286 | 나이와 언어 변이∙289 | 성별과 언어 변이∙292
12 우리말의 변화 | 차재은
1. 우리말 표기 방법의 변화 | 300
훈민정음과 우리말 표기∙300 | 차자 표기와 그 원리∙302
구결, 이두, 향찰∙303
2. 말소리의 변화 | 305
말소리의 변화를 연구하는 방법∙305 | 자음 체계의 변화∙306
모음 체계의 변화∙308 | 초분절 음소의 변화∙310
형태 변화와 말소리 변화∙311
3. 어휘의 변화 | 313
어휘의 소멸과 생성∙313 | 어휘 의미의 변화∙314 | 외래 어휘의 차용∙315
4. 문법 범주와 문법 형태의 변화 | 316
문법 형태와 문법 범주의 소멸∙316 | 문법 형태의 기능 변화∙318
13 국어 교육 | 김윤주
1. 국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 326
2. 국어과 교육과정 | 327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328 | 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331
3. 국어과 교과서 | 333
교과서의 위상∙333 | 국어 교과서의 기능∙334 | 국어 교과서의 활용∙336
4.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 337
교수․학습 모형∙337 | 국어 수업 설계와 실행∙339
5. 국어 교육의 변화와 발전 | 341
14 한국어 교육 | 김지혜ㆍ김서형
1.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범위 | 348
2. 한국어 교육의 목표 및 교육 원리 | 350
3.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353
4.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 359
15 국어 정보학 | 최석재ㆍ박병선
1. 국어 정보학이란 무엇인가? | 368
컴퓨터와 대화하기∙368 | 자연 언어 처리의 발전∙370 | 새로운 가능성, SHRDLU∙372 | 국어 정보학의 과제∙374
2. 언어 자료, 코퍼스 | 376
코퍼스(corpus)의 정의∙377 | 코퍼스의 크기∙378 | 대표성과 균형성∙379 | 코퍼스의 구조∙379
3. 형태소 분석 | 382
형태소 분석의 단위∙384 | 형태소 분석의 어려움∙386 | 형태소 분석 방법∙387
4. 국어 정보학 응용 시스템 | 388
음성 인식 프로그램∙388 | 맞춤법 검사기∙390 | ‘21세기 세종계획’의 성과물∙391
5. 결론 | 392
16 언어 치료 | 이봉원
1. 의사소통 장애와 언어 치료 | 398
의사소통 장애∙398 | 언어 치료학의 정의∙398
2. 언어 치료학의 영역 | 400
조음 음운 장애∙402 | 언어 장애∙403 | 음성 장애∙406 | 유창성 장애∙407 | 청각 장애∙408
3. 국어학과 언어 치료 | 408
음성학과 음운론∙409 | 형태론과 통사론∙410 | 의미론과 화용론∙411 | 국어 지식의 이용∙412
4. 언어 치료학의 현황과 전망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