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글발전사

차례
1. 훈민정음 _12
훈민정음 서문
Hunminjeongeum preface
자음: 초성
Consonant: Initial sound
[ㄱ]의 발성단위- 아음: 어금니목소리
Utterance aunit of [ㄱ]: Back tooth voice
[ㄴ]의 발성단위- 설음: 혀목소리
Utterance unit of [ㄴ]: Lips voice Tongue voice
[ㅁ]의 발성단위- 순음: 입술목소리
Utterance unit of [ㅁ]: Lips voice
[ㅇ]의 발성단위- 후음: 목구멍목소리
Utterance unit of [ㅇ]: Throat voice
모음: 중성
Vowel: Neuter sound
하늘을 본딴 상형문자․ㆍ 모음
Pictograph vowel ㆍ that imitate sky․
땅을 본딴 상형문자, 모음 -
Pictograph vowel – that imitate soil
사람을 본딴 상형문자, 모음 ㅣ
Pictograph vowel ㅣ that imitate a person
기본 모음을 이용한 모음의 창제 원리
Invention principle of hunminjeongeum that use cardinal vowels
2. 조선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노래한 용비어천가 1447 _36
Yongbiochonga that sing justice of Choson Dynasty establishment
of country
용비어천가란?
문법적 특징
용비어천가에 나타난 단어별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at ‘Yongbieocheonga’
3. 현대 고딕체의 모체 석보상절 1449 _40
Mother’s body ‘Sokbosangchol’ of modern Gothic type
석보상절이란?
표기법의 특징
석보상절에 나타난 단어별 특징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at ‘Seokbosangjeor’
4. 불교서적 원각경언해 1465 _44
Buddhism books ‘Wongakgyeongeon’
원각경언해란?
표기법의 특징
원각경언해에 나타난 단어별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Wongakgyeongeonhae’
5. 충신, 효자, 열녀의 모범 서적 삼강행실도 _48
loyal subject, faithful son, faithful woman Model book ‘Samkanghaengsildo’
삼강행실도란?
군위신강
부위부강
부위자강
표기법상 특징
삼강행실도에 나타난 단어별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Samkanghaengsildo’
6. 소학 번역서 번역소학 1518 _54
Sohak translation ‘Beonyeoksohak’
번역소학이란?
표기법상 특징
번역소학에 나타난 단어별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Beonyeoksohak
7. 가장 대표적인 한문 초독서 석봉천자문 1583 _58
‘Seokbongcheonjamun’ at the most representative Chinese writing
initial reading
석봉천자문이란?
표기법상 특징
8. 모든 의서를 집대성한 동의보감 1613 _64
Handbook of Donguibogam compile all medical books
동의보감이란?
국어학적 특징
동의보감에 나타난 단어의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Donguibogam
9. 가정생활에 필요한 예절책 가례언해 1632 _68
Manners book Garyeeonhae that is necessary in home life
가례언해란?
국어학적 특징
가례언해에 나타난 단어의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that appear to Gareeonhae
10. 전염병 퇴치에 관한 의서 벽온신방 1653 _72
Medical book Byeokonsinbang that method about contagious disease
conquest is described
벽온신방이란?
국어학적 특징
벽온신방에 나타난 단어별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Byeokonsinbang
11. 일본어 학습서 첩해신어 1676 _76
Japanese study book Cheophaesineo
첩해신어 제작 배경
책의 형식
12. 화약 만드는 방법을 기록한 신전자초방 1698 _80
Sinjeonjachobang that describe method that make gunpowder
신전자초방이란?
국어학적 특징
신전자초방에 나타난 단어별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Sinjeonjachobang
13. 염불을 권하는 내용을 담은 염불보권문 1704 _86
Yeombulbogwonmun that include contents that suggest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 of Amitaba
염불보권문이란?
국어학적 특징
염불보권문에 나타난 단어의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eombulbogwonmun
14. 몽고어 학습서 몽어노걸대 1741 _90
A study book of Monggol language ‘Mongeonogeoldae’
몽어노걸대(1741) 본문 내용
몽어노걸대에 나타난 단어의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Mongeonogeoldae
15. 무예에 관한 책 무예도보통지언해 1790 _94
무예도보통지언해란?
Muyebotongjiyeonhae
국어학적 특징
무예보통지언해에 나타난 단어의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muyebotongjiyeonhae’
16. 근대국어의 특징을 갖춘 오륜행실도 1797 _98
오륜행실도란?
오륜행실도를 찍은 나무 활자
The printing type that designate Ohryungaengsildo
오륜
부자
군신
부부
장유
붕우
국어학적 특징
오륜행실도에 나타난 단어별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Ohryunhaengsildo
17. 백과사전적 한자 어휘집 물명고 1824 _104
Baekwasajunjeok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Mulmyeonggos’
물명고란?
물명고에 나타난 단어의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Mulmyeonggo
18. 서양인을 위한 한국어회화서 조선어초보 1877 _108
At Korean conversation for Westerner ‘Joseon language rudiments’
19. 기독교 문학집 텬로력뎡 1895 _112
Collections of literature Christian religion Tyeonroryeokdyeong
텬로력뎡이란?
국어학적 특징
텬로력뎡에 나타난 단어의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 by word and meaning that appear to Tyeonroryeokdyeong
20. 최초의 한글만 쓰는 신문 독립신문 창간 1896 _116
21. 주시경의 국어문법 지음 1897 _118
Manufacture language grammar of Joosikyeong
주시경의 국어문법
국어문법이란?
국어문법에서의 품사 분류
22. 최초의 근대 잡지 소년 창간 1908 _122
A Korean first modern age magazine boy
23. 훈민정음의 반포를 기념하는 ‘가갸날’을 정하다 1926 _124
가갸날이라는 용어를 쓰게 된 이유
최초의 한글날<가갸날>
24. 조선어 학회에서 한글 가로 풀어쓰기안 채택 1937 _126
To be bitter solving width choice in Joseoneo learned society
가로 풀어쓰기에 대한 최현배의 이론
Theory of Choehyeonbae about to be bitter solving width
25. 일본의 민족 말살 정책 1938 _128
학교에서 한글 교육이 금지
Hangul education is prohibited at school
26. 공병우의 3벌식 타자기 개발 1947 _130
Typewriter development to read 3 set way width of Gongbyeongwoo
공병우의 3벌식 타자기
27. 탈네모틀 글자 실험 1976 _132
An escaping square frame font experiment
탈네모틀 한글꼴
Escaping square frame Hangul font
탈네모틀 한글꼴의 다양한 구조
Various rescue[structure] that escaping square frame Hangul font
다양한 탈네모틀 글꼴과 탈네모틀 글꼴의 문제점
세벌식 탈네모틀 한글꼴의 문제점
Problem 3 set way escaping square frame Hangul font
28. 휴대전화기의 천.지.인(ㆍ , -, ㅣ) 한글 입력 1995 _136
Mobile Phone Text Input Method
휴대 전화기의 한글입력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