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들어가기
1. 한글 발명에 대한 많은 의문
2. 한글의 발명을 밝혀주는 자료들
3. 중요한 쟁점들
4. 이 책의 새로운 주장


제2장. 동아시아 제 민족의 언어와 문자
1. 중원(中原)의 북방민족
2. 티베트의 서장(西藏)문자
3. 요(遼)의 거란문자
4. 금(金)의 여진문자
5. 몽고 위구르자와 만주문자
6. 원대(元代) 파스파 문자
7. 새로운 중국어의 대두


제3장. 한글의 발명
1. 고대(古代) 한반도의 언어와 문자
2. 한자의 차자(借字) 표기
3. 발음기호로서 훈민정음 28자의 제정
4. 변음토착과 언문
5. 한글 제정의 과정
6. <석보>와 <월인>, 그리고 <월석>


제4장. 언어학의 이론으로 본 한글
1. 조음음성학 이론으로 본 훈민정음 해례
2. 초성, 중성, 종성의 현대 음운론적 이해
3. 훈민정음 초성과 자음체계
4. 중성과 모음체계
5. 종성과 음절 말 자음제약
6. 생성음운론으로 본 훈민정음


제5장.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1. 파스파 문자의 제정
2. 파스파 36자모와 정음 초성 32자
3. <몽고자운> 유모 7자와 훈민정음 11중성자
4. <몽고자운> 입성 6개와 정음의 8종성
5. 한글 자형의 독창성


제6장 한글 발명과 보급에 기여한 인물과 연구
1. 성삼문과 신숙주의 생애
2. 훈민정음 해례와 <동국정운> 편찬
3. <홍무정운>의 역훈과 한어음 표기
4. 최세진의 가계와 생애
5. 한글의 중흥과 최세진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