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한글의 태몽기

제2장 한글의 탐색기

제3장 한글의 탄생기

제4장 한글의 성장기

제5장 한글의 침체기

제6장 한글의 융성기
Ⅰ. 훈몽자회(訓蒙字會)와 한글
Ⅱ. 여러 가지 문학작품의 발달과 한글
Ⅲ. 갑오경장 이전까지의 한글연구의 대강

제7장 한글의 부흥기
Ⅰ. 갑오경장과 한글
Ⅱ. 신식(근대)학교의 설립과 한글
Ⅲ. 국문법 연구의 발전과 한글
Ⅳ. 신문학 창작과 한글
Ⅴ. 언론기관(신문사)의 설립과 한글
Ⅵ. 잡지의 발행과 한글
Ⅶ. 성경(聖經)의 번역과 한글
Ⅷ. 한글 부흥기와 요약과 결론

제8장 한글의 정착기
Ⅰ. 조선어학회의 창립과 한글
Ⅱ.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제정한 언문철자법
Ⅲ. 1988.1.19일 문교부 고시에 의한 새 한글맞춤법의 요점
Ⅳ. 1936.10.28일 “사정(査定)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발표
Ⅴ. 1988.1.19일 문교부가 고시한 표준어 규정
Ⅵ. 1940.6.25일 발표한 초기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Ⅶ. 1995.3.16일 고시한 새로운 외래어 표기법 요점
Ⅷ. 조선어학회의 한글사적 의의
Ⅸ. 조선말 큰사전의 편찬과 한글
Ⅹ. 새로운 신문의 발행과 한글
. 새로운 잡지 발행과 한글
. 현대소설 창작과 한글
Ⅰ. 현대시의 창작과 한글

제9장 한글의 수난기

제10장 한글의 재생과 전성기
Ⅰ. 한글이 다시 살아나다(再生)
Ⅱ. 미군정과 한글교육
Ⅲ. 한글교육의 전성기(全盛期)
Ⅳ. 한글 전성기(全盛期)의 역사적 의의
Ⅴ. 대학의 국어국문학 교육과 한글
Ⅵ. 국민생활 전 분야에서의 한글의 작용과 역할

제11장 한글의 번영기에서 할 일

부록 : 한글연혁 총람(總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