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1부 국어 연구와 정보화
- 국어학 연구와 정보화 / 홍은표
- 방언 연구와 정보화 / 곽충구
- 지명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 임용기
- 구결 자료 전산화의 현황과 과제 / 정재영. 박진호
- 판소리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과 연구 전망 / 김진영
- 현대문학 연구의 정보화 - 현대시 연구 전자도서관 구축방안 / 김병선
- 中韓大辭典 편찬과 그 활용 / 박재연

제2부 한글 공학 및 자연어 처리
- 영어의 역사에 관한 헬싱키 코퍼스 / 정광
- 한국어 말뭉치의 구축과 과제 / 서상규
- 텍스트 부호화와 문서 표준 : TEI, SGML / 강범모
- 음성코퍼스의 공학적 응용 및 국내외 현황 / 이용주
- 복수어 단위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 / 강승식. 임해창
- 국어 연구와 빈도 정보 / 남윤진
- 정보화 시대와 인문학의 역할 / 이수화. 정도상

제3부 전산학과 프로그램의 세계
- 한국어 전산통사론의 과제와 구현 / 이기용
- 통계언어학의 원칙과 방법 / 배희숙
- 음성 정보학 : 국산 음석 분석 프로그램 Voice Analysis Tool의 제작
원리와 말소리의 음향 정보 / 김현기
- 한글과 리눅스 / 은광희
- 한국어 구문 분석기의 과제 / 고창수
- 두음법칙기반 한자독음변환 알고리즘 / 이건식
- 정보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 SynKDP를 중심으로 / 소강춘

제4부 어문 정책과 국어 정보화
- 21세기 세종계획과 한민족 언어 정보학 / 이태영
- 국어 어문 규정과 정보화 / 박형익
- '21세기 세종계획'의 균형 말뭉치 분석 / 조남호
- 한국어와 정보 처리 환경 / 이승재
- 국어 어문 규정 검색 프로그램 개발 / 안동언. 두길수
-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 두길수. 안동언
- 한국 출판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 이기성
- 한글 民體에 관한 연구 / 여태명
- 월인석보 한글 문자의 조형성 고찰
: 월인석보 권 1.2의 한글 큰 문자를 대상으로 / 박병천
- 한글 서체 특성 표현을 위한 대표 글자 추출에 관한 연구 / 김두식
- 디지털(사이버) 한글 박물관 구축과 정보화 / 고성환

제5부 한민족 언어 통일과 국어 정보화
- 한국어 자모 순서 통일안 / 최희수
- 남북한 언어 통일과 정보화 / 최호철
- 남북한의 한글 부호 / 변정용
- 한국어 - 중국 조선어 자동 전환 시스템 / 윤광진. 김동일
- 일본의 국어 정보화 / 송영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