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9

제1시집 화사집花蛇集

자화상
자화상 27

화사
화사花蛇 31 문둥이 33 대낮 34 맥하麥夏 35 입맞춤 36 가시내 37 도화도화桃花桃花 38 와가의 전설 39

노래
수대동水帶洞 시 43 봄 45 서름의 강물 46 벽壁 47 엽서 48 단편斷片 49 부흥이 50

지귀도 시
정오의 언덕에서 53 고을나高乙那의 딸 54 웅계雄鷄 1 56 웅계雄鷄 2 57


바다 61 문門 63 서풍부西風賦 64 부활 65

제2시집 귀촉도歸蜀途

밀어
밀어密語 71 거북이에게 72 무제(여기는 어쩌면…) 74 꽃 75 견우의 노래 76 혁명 78 석굴암 관세음의 노래 79 골목 81

귀촉도
귀촉도歸蜀途 85 문 열어라 정 도령아 87 목화 88 누님의 집 89 푸르른 날 90 고향에 살자 91 서귀로 간다 92 노을 94

멈둘레꽃
소곡小曲 97 행진곡 98 멈둘레꽃 99 만주에서 100 밤이 깊으면 101 조금 105 역려逆旅 106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111

제3시집 서정주시선

시인의 말 119

무등을 보며 121 학 123 국화 옆에서 125 아지랑이 126 신록 128 추천사 鞦韆詞 130 다시 밝은 날에 132 춘향유문春香遺文 134 나의 시 135 풀리는 한강가에서 136 내리는 눈발 속에서는 138 광화문 140 입춘 가까운 날 142 2월 143 꽃 피는 것 기특해라 144 무제(오늘 제일 기뿐 것은…) 145 기도 1 146 기도 2 147 상리과원上里果園 148 산하일지초山下日誌抄 150

제4시집 신라초新羅抄

시인의 말 155

신라초
선덕여왕의 말씀 159 꽃밭의 독백 161 사소의 편지 1 163 사소의 두 번째 편지 단편斷片 165 신라의 상품商品 167 구름다리 168 백결가百結歌 170 해 172 노인 헌화가 173

고조
고조古調 1 179 고조古調 2 180 진주 가서 181 숙영이의 나비 182 기다림 183

귓속말
재롱조 187 귓속말 188 뚜쟁이조 189 어느 유생儒生의 딸의 말씀 190 석류개문石榴開門 191 오갈피나무 향나무 192 진영이 아재 화상 畫像 194

무제
가을에 199 대화 201 다섯 살 때 203 무제(마리아, 내 사랑은…) 204 사십 205 무제(종이야 될 테지…) 206 무제(하여간 난 무언지…) 208 무제(뺨 부비듯 결국은…) 210 어느 날 오후 212 시월유제十月有題 213 어느 늦가을날 214 추일미음秋日微吟 215 단식 후 216 한국성사략 韓國星史略 218 두 향나무 사이 219

인연설화조
편지 223 여수旅愁 225 바다 227 근교의 이녕 속에서 229 쑥국새 타령 230 인연설화조 231

제5시집 동천冬天

시인의 말 237

동천
동천冬天 241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242 피는 꽃 244 님은 주무시고 245 모란꽃 피는 오후 247 내 영원은 249 내 그대를 사랑하는 마음은 250
추석 251 눈 오시는 날 253 마른 여울목 255 무無의 의미 257 동지冬至의 시 259 저무는 황혼 261

고대적 시간
선운사 동구 265 삼경三更 266 재채기 267 우리 님의 손톱의 분홍 속에는 269 여자의 손톱의 분홍 속에서는 271 비인 금가락지 구멍 273 수로부인의 얼굴 275 영산홍 278 봄볕 279 고요 280 무제(매가 꿩의 일로서…) 282
내가 돌이 되면 283 외할머니네 마당에 올라온 해일 284 어느 날 밤 285 한양호일漢陽好日 286 산골 속 햇볕 287 전주우거全州隅居 288 중이 먹는 풋대추 289 마흔다섯 291 실한 머슴 292 가벼히 294 연꽃 위의 방 295 고대적 시간 296

여행가
여행가旅行歌 301 봄치위 303 내가 또 유랑해 가게 하는 것은 304 칡꽃 위에 버꾸기 울 때 305 일요일이 오거든 306 무제(몸살이다…) 308 석류꽃 309 어느 가을날 311 산수유 꽃나무에 말한 비밀 312 경주소견慶州所見 313 강릉의 봄 햇볕 315 무제(피여. 피여…) 316 나는 잠도 깨여 자도다 318 나그네의 꽃다발 319

서정주문학전집

시인의 말 323

예시
부처님 오신 날 327 조국 329 3·1아, 네 해일 그리며 살았었느니 331 쉰세 돌 3·1절에 333 어머니 335 신년 유감 337 바닷물은 반참 때 340 찬가 342 이 신문에서는 344 영령들이여 346 범산 선생 추도시 348 4·19혁명에 순국한 소년 시인 고 안종길 군의 영전에 350 찬성 352 말에게 부쳐 354 다시 비정의 산하에 356 8·15의 은어隱語 358

근작 시편
사경四更 363 방한암方漢岩 선사 364 단상斷想 365 모란 그늘의 돌 366
백일홍 필 무렵 367 서경敍景 368 역사여 한국 역사여 369 이런 나라를 아시나요 371 한라산 산신녀 인상 373 우리 데이트는 375 무궁화 같은 내 아이야 376 내 아내 378 뻐꾸기는 섬을 만들고 379 춘궁 381 꽃 382 음력 설의 영상影像 384 나룻목의 설날 386 보릿고개 388 백월산찬白月山讚 389 내 데이트 시간 390 할머니의 인상 392 남해 보타낙가 산정 393 소연가小戀歌 394 애기의 웃음 395 기억 396 이조 백자를 보며 397 겨울 황해 398 석공 1 401 무제(네 두 발의 고무신이…) 402 첫 벌 울음소리 바윗가에 들려서 403 어느 신라승이 말하기를 404 초파일 해프닝 405 추운 겨울에 흰 무명 손수건으로 하는 기술奇術 406 내가 심은 개나리 410 무제(“솔꽃이 피었다”고…) 411 남은 돌 412 바위옷 413 싸락눈 내리어 눈썹 때리니 414
밤에 핀 난초꽃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