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구전동요의 총체적 연구
1장 한국구전동요의 중요성
2장 구전동요 연구 방법의 통일성과 다양성
3장 동요의 지역성과 광포성 및 분절에 관한 연구
- <새는새는 남게자고> 유형을 중심으로 -
4장 총체학으로서의 구전동요 연구
- <비야비야 오지마라> 유형을 예증삼아 -


제2부 구전동요의 개체적 연구
1장 제주도 동요 연구
- 제주도 한림읍 애월면 귀덕리 제보자를 예증삼아 -
2장 제주도가 들려주는 동요와 귀리지역 구전동요 자료
- <깅이 잡는 소리>와 <재열 잡는 소리> -
3장 <말머리잇기> <말꼬리따기> 구전동요의 의미와 리듬
4장 구전동요 <해야해야> 분석과 의의
5장 구전동요 <별헤는소리>의 리듬구조와 서정적 의의
6장 <꼬부랑할머니>의 성격과 의의
7장 현대 구전동요 연구


제3부 한국구전동요 자료
한국구전동요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