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1.「한조삼성기봉」연구
1. 서론
2. '한조삼성기봉' 내용 개관
3. '한조삼성기봉'고 '옥환기봉'의 대비
4. 작가의 동일성
5. '한조삼성기봉'과 '옥환기봉'의 관계
6. 결론

2.「청백운」연구
1. 서론
2. '청백운' 순차 단락
3. '청백운' 몇 가지 특징
4. '청백운' 에 드러난 여성 시각
5. 결론

3.「현몽쌍룡기」의 창작 방법과 작가의식
1. 서론
2. '현몽쌍룡기'의 창작방법
3. '현몽쌍룡기'의 갈등구조와 작가의식
4. 결론

4. 여성 향유층과의 관계에서 본「낙천등운」의 형상화 방식
1. 서론
2. '낙천등운'의 구성과 갈등구조
3. 창가에서 지킨 순백의 순결과 여주인공 동예아의 형상
4. 결연 형식을 초월한 믿음과 사랑의 구현자 왕석작의 형상
5. 결론

5.「화정선행록」 연구
1. 머리말
2. '화정선행록'의 서시
3. '화정선행록'의 서사 전개
4. '화정선행록'의 인물 형상
5. '화정선행록'의 작가의식
6. 맺음말

6.「화문록」의 여성 형상과 작가의식
1. 머리말
2. '화문록'의 서사 전개
3. 호소저의 형상과 작가의식
4. 이소저의 형상과 작가의식
5. 맺음말

7.「위씨오세삼난현행록」의 특이성
1. 서론
2. 제목, 분권, 회장
3. 서사 구조의 성격
4. 장면 구성의 특이성 - '기전'류의 적극적 활용
5. 창작 의식과 작가층
6. 회장 및 순차단락 정리

8.「천수석」연구
1. 서론
2. 텍스트의 축약 정도
3. 텍스트의 결함과 그 이유
4. 늑혼담의 진행 과정과 그 특이성
5. 작가의식과 소설사적 의미
6. 결론

<부록: 권별 순차단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