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훌륭한 문장은 해와 달과 같아
눈이 있는 자는 보지 않을 수가 없다

우리 시와 중국 시 │ 최행귀
해와 달이 빛나듯 │ 이인로
배우는 자의 글쓰기 │ 임춘
한낱 운율이 중요하라 │ 임춘
동명왕의 노래를 기록하며 │ 이규보

...(중략)

여러 가지 표현 수법 │ 이제현
시의 감상 │ 이제현
날리는 배꽃을 두고 │ 이제현
임춘과 최자의 시 │ 이제현
시는 지향의 발현 │ 이제현


시를 짓기는 어렵지 않으나 시를 알기는 어렵다

시를 짓는다는 것 │ 서거정
이인로의 시 │ 서거정
이제현의 악부시 │ 서거정
시를 알기 어렵다 │ 서거정
이승휴의 시 │ 서거정

...(중략)

옛것을 오늘에 적용하는 법 │ 김시습
'전등신화'에 쓰노라 │ 김시습
우리 나라의 문인들 │ 성현
우리 나라의 화가들 │ 성현
우리 나라의 음악인들 │ 성현


시가 생활을 궁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생활이 궁하기 때문에 그의 시가 이러한 것이다

작가란 가장 맑은 사람이다 │ 차천로
곤궁한 처지에서 시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 차천로
시의 사상 │ 유몽인
시의 의의 │ 유몽인
시가 생활을 반영한다 │ 유몽인

...(중략)

문장 다듬기 │ 김창흡
이해조의 문장 │ 김창흡
최효건의 시 │ 김창흡
우리 말로 쓴 노래와 소설 │ 김춘택
뜻은 깊고 말은 얕으니 │ 이익


참다운 시는 모두 자기 목소리를 낸다

모든 사요가 민요에서 나왔으니 │ 홍양호
문장은 호수와 같아 │ 홍양호
송덕문의 시 │ 홍양호
문장이란 글귀를 쑤미는 것이 아니니 │ 홍양호
옛날과 지금 │ 홍양호

...(중략)

박제가가 준시 │ 이덕무
연암 박지원 │ 이덕무
용인 가는 길에 │ 이덕무
박제가에게 주는 노래 │ 이덕무
참다운 시는 모두 자기 목소리를 낸다 │ 박제가


새매의 눈으로 시대를 노래하라

모방한 것은 문장이 아니다 │ 남공철
고전을 읽어 기백을 기른다 │ 남공철
고문은 거짓이다 │ 남공철
거문고가 시와 가깝다 │ 남공철
유한준의 문장 │ 남공철

...(중략)

문학과 생활 │ 김정희
시 '관악산'을 읽고서 │ 김정희
글이 정에서 나는지 정이 글에서 나는지 │ 이상적
시 │ 이상적
광대가 │ 신재효


부록
고전 작가들의 미학 사상에 대하여 - 신구현
원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