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 고전 서사문학의 계보적 조명
한국문헌설화 발전 계보 연구

제2부
아랑형설화 재로
오줌 꿈을 사는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문학치료학적 의미
동명설화의 계열들과 '동명왕편'과의 관련양상
'두번째 사랑의 거부' 모티프의 수용과 전망
김유신 탄생담의 구조적 특성과 주몽 탄생담의 관련 양상
'수삽석납'과 '심생전' 및 '소설'의 거리
'구운몽'과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조의 관련 양상
무오연행록과 연행가의 비교,고찰
'강증산일대기'의 구조와 그 원천

제3부
'만복사저포기'의 삽입시 기능에 대한 무속제의적 고찰
'원생몽유록'작자의 의혹과 시비의 현장
'운영전'에 대한 문학적 반론으로서의 '영영전'
조선시대 애정소설ㅇ의 주제의식과 그 '지속'기법적 흐름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계보와 성격
'몽옥쌍봉연록' 연작의 서지적 고찰
운수전 연구
적벽가와 삼국지연의의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