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부 고소설 창작방법 연구 서설
고소설 창작방법 연구 서설


제2부 고소설 전반 및 유형의 창작방법연구

제1장 고소설 전반의 창작방법론
소설 이론의 두 방향: 변증법과 생극론
소설 이해를 위한 문체론적 시각
고소설의 전기적 내용과 그 의미
고전소설의 현실성과 낭만성 문제
환상적 텍스트의 미적 근거
화소와 결론 방식을 통해 본 영웅소설의 유형성
지식층의 소설에 대한 인식과 제작의식
고소설의 징악양상과 그 의의
고소설의 반구상담화와 그 도가사상적 취향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역설적 비극과 낭만
고전소설의 제문 활용 양상과 그 기법
고전서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언술양상

제2장 고소설 유형의 창조방법론
군담소설의 구성과 작자의식
판소리에 나타난 현실인식
야담의 기록화과정과 한문단편의 성립
가족사서술과 장편대하소설
혼사장애 그리고 소설의 도입부와 결말부
조선후기 한문소설의 양론적 대화 양상과 그 의미
초기 한문소설에서의 현실주의 논의와 그 전망
초기 한문소설집의 전기성에 관한 반성적 고찰
우언 글쓰기의 언어관과 명실론
전란 모티브의 성격과 역사적 전개 과정
군담소설 서사구조론의 전개와 연구방향
조선조 연의소설의 창작기법
조선루기 역사소설의 서술방식
송사소설의 형상화 방식과 구조적 특성
가문소설의 창작과 희소
대하소설의 양식적 특성과 의미구현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