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19세기 시가사의 시각 - 고미숙 11
Ⅱ. 이한진 편 「청구영언」 연구 - 김종화 23
1. 서론
2. 가집의 체제 및 수록 작품의 내용적 특성 25
1) 편제와 표기형태상의 특징 25
2) 수록 작품 내용분석 29
3. 신출작가 및 신출작품의 특성 36
1) 신출작가 36
2) 신출작품 40
4. 결론 54
Ⅲ.「청구영언」(육당본)의 성격과 시가사적 위상 – 김용찬 57
1. 머리말 57
2. 가집의 편제와 특성 60
1) 가집의 편제
2) 『청구영언』(육당본)의 향유집단에 대하여 65
3. 『靑丘永言』 (六堂本)의 문학적 성격과 그 의미 77
1) 신출작품의 전반적 특질 77
2) 19세기 전반기 작가들의 작품세계와 그 의미 86
4. 『靑丘永言』 (六堂本)의 歌集 編纂史的 位相95
5. 맺음말 103
Ⅳ. 19세기 여창가곡의 작품세계 – 신경숙 107
1. 19세기 가곡사 이해의 새로운 구도와 여창가곡 107
2. 남. 여창 가집의 주제층위 110
3. 여창가곡과 가집 주제층위의 변화 120
1) 여창 등장과 가집 주제층위의 변화 120
2) 여창 주체적 양상과 특화: 여창 가곡집의 경우 132
3) 실제 연행에 구현된 여창가곡 136
4. 感性的 情調의 분출과 그 의미 138
1) 서정시에 있어서 감성의 의미 138
2)감성적 정조의 세계 141
3) 19세기 애정의 略號: 과장된 비애의 정조 153
5. 결론- 여창가곡의 문학사적의의 163
Ⅴ. 삼죽 조황의 시조연구 - 정흥모 169
1. 문제제기 169
2. 서지적 사항과 작품 창작시기 재검토 170
3. 傳記的 사실과 意識의 根底 173
4. 현실인식의 방향 183
5. 조황 시조의 당대적 의미 – 결론에 대신하여 192
Ⅶ.「北塞曲」의 표현방식과 작품세계 – 이형대
1. 논의의 방향 227
2. 경험 서사의 사실적 재현과 표현기법의 변화 228
3. 체제 모순의 심화와 북관민의 삼에 대한 형상 240
1) 북관민의 이채로운 생화문화에 대한 시각 241
2) 현실 모순과 민중들의 찢긴 삼에 대한 의식 248
4. 맺음말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