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권5
불로장생하는 임금의 슬픔
옛사람의 체격
비문에 대한 사례
구양수의 '상강천표'와 주자가 악비를 혐의한 일
능묘의 도굴
죽음에 임해 지은 시
낮에는 거지, 밤에는 천자
꿈을 풀이하는 법
암송하는 능력이 뛰어난 역대 인물과 김득신의 일화
귀신이 지은 시
귀신이야기
문인의 지조
중국의 신자와 조선의 속자
서올과 조의 유래
소리를 이해한 사람들
우리나라의 가곡
전신과 후신
동요의 영험
초상화
석정과 이여매의 초상화
부유한 사대부

권6
장준
왕통
진량
섭몽득
문인의 지기
방효유
전겸익
전겸익의 세 가지 부끄러운 것
서위
왕사진
위희
문인들의 자부심
서건학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세종대왕의 중국어 사용
선조임금의 시
종친의 처신
효종과 윤강의 일화
정조의 문장
순조
우리나라의 지리
붕당의 폐해
문벌의 폐해
과거제도의 폐해
과거제도와 관련한 일화
서원과 학교의 폐단
영남문집
'자子'라는 칭호
사람 됨됨이와 문장이 서로 어긋난 경우
흥인문 밖의 곡성
한 자리에 오래도록 있는 이유
낙향의 어려움

권7
문형
풍수의 허망함
풍수에 관한 책
기호의 지나친 사례사대부의 어법
자신의 분수를 지키는 법
홍경래난을 토벌한 유효원의 잘잘못
인동
사무의 번거롭고 간소함
심온 집안과 박은 집안
읍취헌 박은
우리나라의 고사
허엽 자녀들의 문재
백호 임제
왕어양도 인정한 청음 김상헌의 시
지천 최명길의 공적
미수 허목
잠 안 자는 사람들
명촌 나양좌
응재 이희지의 시재
운평 송능상
전생의 소원
담배
아편
산송
풍수와 화복
여러 호칭
'공公'의 유래
'선생'의 유래
'공公'이라 부를 때
홍씨 성
경복궁
물시계

권8
청백리 이병태
정조와 김익의 일화
참다운 정승 김재찬
청렴하고 유능한 정만석
풍석 서유구
정양욕의 실학
이서구의 시
이서구의 행정능력
심상규의 가성각
취미 신재식
추사 김정희 삼형제
추사의 서체
추사의 두보 시평
추사와 옹방강
추사의 칠십이구정
추사 편액의 유래
중국 학자의 박학
소남 심능숙의 재주
소남 심능숙의 자부
순계 이정리
죽어서 이계의 왕이 된 사람들
가도학 윤광현
자국의 전고에 해박한 윤영원
근세 학자들의 폐단
매원 서기순
방촌 김재두
봉서 유신환
시를 못 지었던 유신환
방산 심의덕
남원창수집
연천 홍석주와 항해 홍길주
홍석주와 홍길주의 저작
홍석주의 학문
모문룡미
이만수가 김황원의 시를 이어 짓다
계해년 연행 때의 삼사
연광정과 부벽루를 노래한 시
추사의 금강산시
시인의 시와 대가의 시
연천당
신재 홍낙명
죽리 ㄱ미이교
서어 권상신
사람의 치아
관명우질
대감과 진사의 호칭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여러 호칭
우리나라의 관대
우리나라 의복과 관대의 제도
비변사
약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