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해제 1 진재교
해제 2 임형택

권1
장서가
저서
실학
찬집
시문 선집
십삼경주소
사서의 체제
우리나라의 역사서
고금도서집성
임원십육지
우리나라의 경세서
기년아람
팔대가
명신록
연려기술
통감과 사략
수호전
천자문
통감강목
변려문
필록.만기
책이 너무 많은 세상
점필재의 제자
문묘에 종사함
공자가 시를 잘 설명함
주자
서양의 강대함
마테오리치
경술의 선비
허노재
원 세조
공자를 깎아 내림

권2

경전의 주해
어렵고 험악한 문체
시를 보는 관점
옛 문자
졸수재
관혼상제
모기령
순의 두 왕비
성왕의 출생과 즉위
촛불 아래 도끼 그림자
만리장성
송나라의 법
문약
원나라의 인물
인민을 살상함
곤과 우
주자의 절친한 벗
송나라의 인물
후당 명종
숭정 17년
술을 금지함
오성이 규성에 모임
주소
중국이 승상을 두지 않음

권3
고금의 문장
도를 어지럽히는 글
문체반정
장편 시
차운
작문 고사
비지의 체제
노천의 문장
사장지문
격양집
문치
고인을 보지 못하고 후인을 보지 못함
이릉의 시
청나라 사람이 세상에 아첨함
왕양명과 이지

남의 시를 시기함
동파와 이천
만사
글은 실용이 귀함
영수각 서씨
부녀 시인
과문
씨와 성
예전과 지금의 이름 짓는 방법
자와 호
옛사람은 자를 휘 하지 않음
별호

권4
시법
연호
조는 공, 종은 덕
이적으로써 중국을 변화시킴
제왕의 전위
양이가 북경을 함락하다
나라를 망하게 한 군주
신사년의 괴질
분돈의 병
봉건제
제갈무후
끓는 샘물
동계의 후손
조남명
상수
원기
정감록
우리나라의 묘호
갑자, 을축
왕엄주
문집
청나라 초기 사람들의 글
원천석의 '누사'
순절
고려
화왕전
양주
여색
사대부의 안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