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위로




1. 새로운 나라 조선 -조선왕조 개창과 국가체제 정비
신진사대부, 새 왕조를 열다
왕조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다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통치 체제를 정비하다
아! 그렇구나 - ''경복궁''이란 이름의 유래 / 한양의 뜻 | 돌아오지 않는 사자, 함흥차사 | 삼강오륜이란? | 《경국대전》에 실린 내용들 | 도 이름 짓기
어떻게 볼것인가 - 조선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 조선 초기에 왕실 족보를 네 종류나 만든 까닭 | 사육신 논쟁 | 수양 대군의 권력 장악과 왕위 계승 | 조선 전기의 사대 외교
이것도 알아두세요 - 세종대왕이 이룩한 업적 | 조선의 궁궐-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 임금의 이름은 몇 개나 될까?

2. 조선 사회를 어떻게 꾸릴까? -사회 제도와 구조 개편
신분제도와 국역편성
경제구조와 군사제도
사회의 뿌리, 가족 제도의 변화
조선 전기의 교육과 학교
통신·운송 수단을 개선하다
훈구파와 사림파의 좌충우돌 세력 다툼
아! 그렇구나 - 천인에서 양인으로 - 때를 잘 타고난 사노 임복 | 한명회가 남겨놓은 압구정
어떻게 볼 것인가 - 결부법 | 연산군의 흥청망청
이것도 알아두세요 - 세종, 공법에 관한 여론 조사를 실시하다 | 400년전, 죽은 남편에게 보낸 아내의 사랑 편지 | 조선 시대의 왕세자 교육

3. 농업, 나라와 백성이 살 길 -농본 국가의 경제 체제와 서민 생활
농업의 발달과 재해 정책
마을 공동체 형성과 세시풍속
물꼬를 트는 상업과 수공업
아! 그렇구나 - 국왕이 몸소 밭을 갈았다고요? - 선농단과 설렁탕 | 노농, 그들은 누구인가
이것도 알아 두세요 - 지방에서 만든 구황서 《충주구황절요》

4. 모든 사상과 철학은 성리학으로 -조선 성리학의 발달과 민간 신앙
조선 성리학 형성과 그 특색
유교 이외의 종료를 멀리 하라
아! 그렇구나 - 성리학은 우주와 인간을 어떻게 보는가? | 기묘 사림과 소격서
이것도 알아두세요 - 율곡 이이의 독서법

5. 조선의 독특한 문화를 일구다 -조선 전기의 예술과 과학 기술
조선 전기의 문확과 예술
과학 기술과 의학의 발달
아! 그렇구나 - <몽유도원도>에 담긴 꿈 |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담긴뜻
어떻게 볼 것인가 - 한국사 시대 구분론
이것도 알아 두세요 - 한시 한편이 불러온 비극 - 남이 장군 이야기 | 준법/곽희의 화풍 | 조선의 역법서 <칠정산내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