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대와 공간을 넘나드는 고고학의 세계 속으로

[전곡리 주먹도끼] 구석기 시대에 맥가이버 칼이 있었다고?
▶ 발굴노트 | 돌·청동·철, 시대를 움직인 유물의 재료
▶ 발굴노트 | 발굴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암사동 선사 주거지] 한강 대홍수가 깨운 암사동의 시간 터널


▶ 발굴노트 | 빗살무늬 토기에서 신석기 시대의 생활을 읽다

[동삼동 패총] 오래된 쓰레기 더미 속에 선사 시대 문화가 있다!
▶ 발굴노트 | 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

[갈동 세형동검 거푸집] 청동기 시대에 공장이 있었다고?
▶ 발굴노트 | 유물도 족보에 따라 품격이 달라진다

[풍납동 토성] 잃어버린 백제의 왕성을 되찾다
▶ 발굴노트 | 풍납토성이 왕성이란 걸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백제 금동대향로] 진흙 속에 잠든 백제의 용이 깨어나다
▶ 발굴노트 | 몇백 년을 지난 금동대향로, 어떻게 녹슬지 않았을까?

[무령왕릉] 하룻밤 만에 열린 고대사의 블랙박스
▶ 발굴노트 | 무령왕릉을 되살리다

[아차산 보루] 한강을 지킨 고구려의 최전방 요새
▶ 발굴노트 | 고구려군의 보루, 고구려인의 생활상을 보여 주다

[황남대총] 왕비에게 금관을 양보한 신라왕은 누구일까?
▶ 발굴노트 | 금관이 나왔는데도 왕릉으로 불리지 않는 이유
▶ 발굴노트 | 황남대총의 주인은 대체 누구일까?

[복천동 고분군] 무덤 속 철갑옷, 임나일본부설을 잠재우다
▶ 발굴노트 | 철기에 숨겨진 철강 왕국의 비결을 알아내다

[신안 보물선] 바닷속 타임캡슐을 발굴하다
▶ 발굴노트 | 바닷속에서의 발굴, 어떻게 이루어질까?

[이응태 무덤 한글 편지] 원이 엄마의 한글 편지, 세계를 울리다
▶ 발굴노트 | 껴묻거리, 시간을 초월하는 단서

[회곽묘 미라] 미라가 되어 다시 만난 두 여인
▶ 발굴노트 | 역사를 고스란히 품은 미라, 어떻게 만들어질까?

사진 자료 제공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