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제1부 한국어교육의 목표와 현황 / 박영순 = 1
1.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목표 = 3
1.1.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목표 = 3
1.2. 한국어교육의 내용 체계 = 5
2. 한국어의 위상과 한국어교육의 현황 = 10
2.1. 세계의 주요 언어와 그 인구 수 = 10
2.2. 한국어 세계화의 개념과 필요성 = 11
2.3. 외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 = 14
3. 한국어의 진흥 방안 = 20
3.1. 교육기반 구축 = 20
3.2. 어휘 목록 문제 = 21
3.3. 문법 문제 = 22
4. 다문화 가정의 자녀를 위한 언어교육 정책 = 23
4.1.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시스템 구축 = 23
4.2.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예산 편성 = 25
4.3. 한국어 교사 양성 및 정기적인 연수 = 25
4.4. 다문화 가정을 위한 협력망 구축 = 26
5. 다문화 가정을 위한 다언어문화 교육이론 = 28
5.1. 이중ㆍ다중언어교육의 개념과 현황 = 28
5.2. 미국의 이중언어교육 = 29
5.3. 이중ㆍ다중언어교육의 철학적 배경 = 30
참고문헌 = 32
제2부 한국어에 대한 이해 = 35
1. 한국어의 역사와 훈민정음 창제 / 김무림 = 37
1.1. 개관 = 37
1.2. 한국어 변천의 역사적 개관 = 38
1.3. 중세 한국어의 음운 체계 = 41
1.4. 훈민정음의 창제 = 47
1.5. 훈민정음에서 한글로 = 53
1.6. 맺음말 = 57
참고문헌 = 58
2. 한국어의 발음 / 박선우 ; 오새내 = 59
2.1. 개관 = 59
2.2. 발음을 적는 방법 = 60
2.3. 한국어의 발음과 국제음성부호 = 63
2.4. 분절음의 체계와 발음 = 68
2.5. 말소리의 장단과 고저 = 81
2.6. 한국어의 음운현상 = 83
2.7. 맺음말 = 96
참고문헌 = 97
3. 한국어의 단어와 어휘 / 이현희 = 99
3.1. 개관 = 99
3.2. 형태소, 단어, 어휘 = 99
3.3. 단어의 분류 = 105
3.4. 어휘의 체계와 분류 = 117
참고문헌 = 122
4. 한국어의 문법 / 정주리 ; 고은숙 = 123
4.1. 개관 = 123
4.2. 문장의 성분 = 124
4.3. 문장의 짜임새 = 138
4.4. 문법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 = 148
4.5. 높임법 = 158
참고문헌 = 177
5. 한국어의 의미 / 심지연 = 179
5.1. 개관 = 179
5.2. 의미란 무엇인가? = 180
5.3. 어휘의 의미 = 185
5.4. 문장의 의미 = 197
5.5. 담화와 텍스트의 의미 = 201
5.6. 맺음말 = 206
참고문헌 = 207
6. 한국어의 정서법 / 김진아 = 208
6.1. 개관 = 208
6.2. 한글 맞춤법의 원리 = 208
6.3. 한글 맞춤법의 실제 = 210
6.4. 띄어쓰기의 원리 = 221
6.5. 띄어쓰기의 실제 = 224
참고문헌 = 228
제3부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구성 = 229
1. 한국어 교육과정 / 박영순 ; 원진숙 = 231
1.1. 개관 = 231
1.2.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 231
1.3. 교육과정의 설계의 예 = 233
1.4. 정규 대학과정의 한국어교육 = 236
1.5. 외국의 한국어 교육과정 = 240
1.6. 맺음말 = 248
참고문헌 = 248
2. 한국어 교재 구성 / 김지영 = 250
2.1. 개관 = 250
2.2. 한국어 교재와 그 역사 = 251
2.3.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안 = 258
2.4. 한국어 교재의 활용 = 271
2.5. 맺음말 = 274
참고문헌 = 275
제4부 한국어 교수법과 평가 = 277
1. 한국어 교수법의 일반 원리 / 김정숙 = 279
1.1. 개관 = 279
1.2. 의사소통 능력과 한국어교육의 내용 = 279
1.3. 한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 = 285
1.4. 한국어교육의 모형 = 286
1.5. 한국어교육의 원리 = 291
1.6. 맺음말 = 299
참고문헌 = 299
2. 한국어 교수법의 흐름 / 정다운 = 302
2.1. 개관 = 302
2.2. 한국어교육의 시대 구분 = 303
2.3. 국내 한국어 교수법의 흐름 = 306
2.4. 한국어 교수법의 발전 방향 = 328
2.5. 맺음말 = 332
참고문헌 = 333
3. 한국어 능력 평가 / 김유정 = 336
3.1. 한국어 능력 평가의 개념과 목적 = 337
3.2. 한국어 능력 평가의 개발 절차 = 344
3.3. 한국어 능력 평가 실례 = 349
참고문헌 = 361
제5부 한국어교육의 내용과 방법 = 363
1. 한국어 말하기 교육 / 전은주 = 365
1.1.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과 목표 = 366
1.2.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내용 선정 원리 = 370
1.3.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방법 = 377
1.4.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의 평가 방안 = 396
참고문헌 = 398
2. 한국어 듣기 교육 / 최은지 ; 오현진 = 400
2.1. 한국어 듣기 교육의 목표 = 400
2.2. 한국어 듣기 교육의 내용 = 404
2.3. 한국어 듣기 교육의 방법 = 412
2.4. 한국어 듣기 평가 = 421
참고문헌 = 423
3. 한국어 읽기 교육 / 신미경 = 425
3.1. 한국어 읽기 교육의 목표 = 426
3.2. 한국어 읽기 교육의 내용 = 430
3.3. 한국어 읽기 교육의 방법 = 433
3.4. 한국어 읽기 평가 = 445
참고문헌 = 449
4. 한국어 쓰기 교육 / 원진숙 = 452
4.1. 쓰기의 개념과 특성 = 453
4.2. 쓰기 지도 접근법 = 459
4.3. 한국어 쓰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 = 464
4.4. 한국어 쓰기 교육의 방법 = 469
4.5. 한국어 쓰기 교육 평가 = 476
참고문헌 = 483
5. 한국어 문법 교육 / 고경태 = 486
5.1.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와 얼개 = 486
5.2.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 = 490
5.3. 한국어 문법 교육의 방법 = 499
5.4. 한국어 문법교육평가 = 503
참고문헌 = 504
6. 한국어 어휘 교육 / 김유범 = 506
6.1. 어휘 교육의 중요성과 목표 = 506
6.2. 어휘 교육의 내용 = 509
6.3. 어휘 교육의 방법 = 514
6.4. 어휘 교육에서의 평가 방안 = 517
참고문헌 = 519
7. 한국어 문화 교육 / 박영순 = 520
7.1. 언어와 문화의 관계 = 520
7.2. 언어능력과 문화 교육 = 522
7.3. 언어교육에서 문화론의 필요성 = 525
7.4. 문화 교육의 목표 = 529
7.5. 문화 교육의 내용 = 530
7.6. 문화 교수ㆍ학습방법론 = 540
7.7. 문화 교육 평가론 = 542
참고문헌 = 548
8. 한국어 발음/억양 교육 / 오새내 ; 임마누엘 = 550
8.1. 한국어 발음/억양 교육의 목표 = 550
8.2. 한국어 발음/억양 교육과 교사 교육 = 551
8.3. 한국어 발음/억양 교육의 실제 = 558
8.4. 한국어 발음/억양 교육의 평가 = 582
참고문헌 = 588
찾아보기 = 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