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연구 개관
1. 연구 목적 = 9
2. 연구 대상 = 10
3. 연구 방법 = 11
4. 분석 항목 = 11
Ⅱ. 분석 지침
1. 교재 분류 = 15
2. 교육프로그램 = 16
3. 교육 목적 = 16
4. 교육 목표 = 17
5. 학습자 집단의 특성 = 17
6. 목표 언어 사용 환경 = 17
7. 교재 용도 = 17
8. 교재에 반영된 외국어 교수·학습 이론 = 18
9. 교수요목의 유형 = 20
10. 교재 꾸러미(package) 구성 = 24
11. 번역 = 24
12. 교재 구성 체제 및 내용 = 24
13. 문법(해당 부분 참고) = 24
14. 관용 표현, 상투 표현, 연어, 어휘(해당 부분 참고) = 24
15. 문화 항목(해당 부분 참고) = 24
Ⅲ. 교재 외적 분석
1. 기관별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 27
2. 기관별 교재의 외적 특징 비교 = 32
3. 기관별 교재 체제상의 특징 = 34
3.1. K_U_KH_12_L01-06(경희대학교) = 34
3.2. K_U_KR_12_L01-06(고려대학교) = 39
3.3. K_U_SK_12_L01-04(서강대학교) = 42
3.4. K_U_SU_11_L01-04(서울대학교) = 45
3.5. K_U_SM_12_L01-06(선문대학교) = 48
3.6. K_U_YS_11_L01-06(연세대학교) = 52
3.7. K_U_EH_12_L01-04(이화여자대학교) = 55
3.8. K_U_KP_12_L01(경북대학교) = 58
3.9. K_U_HF_11_L01-02(한국외국어대학교) = 59
3.10. K_G_IE_11_L01-06(국제교육진흥원) = 60
3.11. K_I_EK_12_L01-03(한국어교육문화원) = 64
3.12. K_P_BK_11_L01-0(가나다한국어학원) = 66
3.13. K_P_BK_11_L01-02 = 69
3.14. K_P_KC_12_L01(연세대 놀며 배우는) = 70
3.15. K_P_KE_11_01-03(한림출판사) = 71
3.16. K_P_LF_12_L01-02(국제노동재단) = 73
3.17. K_P_FK_12_L01(한림출판사) = 74
3.18. K_P_ICK_11_L01-03(연세대 루코프) = 75
3.19. K_P_MJ_11_L01-02(명지출판사) = 77
3.20. K_I_SISA_11_L01-02(시사한국어교육원) = 78
4. 교재의 유형 = 79
Ⅳ. 교재 내적 분석
1. 문법 항목 = 83
2. 관용 표현, 상투 표현, 연어 표현, 어휘(제시어, 빈도) = 94
2.1. 관용 표현 목록 = 95
2.2. 상투 표현 목록 = 98
2.3. 연어 표현 목록 = 101
2.4. 어휘 목록(빈도 2이상) = 125
2.5. 교재별 목표 어휘 빈도 = 149
3. 급별 어휘, 관용, 상투, 연어, 합산 빈도 = 229
4. 문화 항목 = 274
Ⅴ. 한국어 교육 참고문헌 목록
1. 참고 문헌 - 연도별 정렬 = 301
2. 참고 문헌 - 저자별 정렬 = 330
3. 참고 문헌 - 대주제별 정렬 = 359
4. 참고 문헌 - 소주제별 정렬 = 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