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5부 씨를 활활 뿌려라
- 재소고려인 한글신문 《선봉》, 《레닌기치》, 《고려일보》 편

1. 《레닌기치》와 《고려일보》에 실린 가요
평화의 새여 날러라 / 개척자는 달린다 / 파종에 나선 맘 / 타곡의 노래 / 나는 몰라요 /
김일성장군의 노래 / 뽕따러 가세 / 쌕쌕이와 기관사 / 압록강 떼모리 / 나의 사랑 /
친선의 노래 / 기다림 / 운전수의 노래 / 처녀의 약속 / 유쾌한 배달부 / 오봉산타령 / 녕변가 /
금강산타령 / 우리농촌 아가씨들 / 누에치는 처녀 / 달노래 / 선물 품은 달 / 처녀운전수 /
봄''바람 / 처녀의 편지 / 처녀운전수 / 고운 댕기 / 정녕코 좋다 / 옥수수 노래 / 목동의 가을 /
평화의 노래 / 항상 해는 빛나라 / 해맞이 가세 / 시월의 불''길 / 동기방학 / 고운 아기 /
당신의 눈은 참 별 눈이구려 / 씨르다리야 / 칠칙강아, 흘러라 / 우리 마을 / 무지개 /
물소리나네 / 앵두꽃 / 봄 찾아가세 / 나물 캐는 처녀들 / 님을 그리는 맘 / 달구경 가세 /
웃음은 생활의 꽃이란다 / 별일도 다 많네 / 여기가 살기 좋은 고향이라네 / 젊은 운전수 /
우리 엄마 / 봄노래 / 사랑 / 발하스 어부타령 / 아이들아 노래하자 / 박흐·빡흐띄의 벼가을 /
사랑사랑 / 우스또베의 노래 / 내 조국 / 인떼르나치오날 / 봄이 왔네 /
엄마의 묘 앞에 꽃을 심으자 / 기다리는 맘 / 전기 등불 밑에서 / 비 / 인도손님의 노래 /
방아 / 우리 꼴호스 / 흘러가라 노래여 / 레닌은 우리와 함께 계시네 / 레닌은 언제나 너와 함께 /
자장가 / 풍년맞이 가세 / 봄노래 / 함께 치는 두 심장 / 해당화 붉게 피였네 / 치르치크 풍년 벌 /
극성아 더 높이 빛나라 / 너 잘 있니, 까람까스여 / 이십사차 당대회를 자랑하세 / 풍년가 /
평양에 대한 노래 / 목장의 처녀 / 강철마 부리는 처녀 / 뽕따는 아가씨 / 포슬포슬 내리는 눈 /
추억의 왈쓰 / 봄이 왔네 / 은혜로운 내 조국에 / 아름다운 내나라 / 건설공 아가씨 /
처녀의 손수건 / 봄노래 / 고향산천 / 기계공에 대한 노래 / 삼월팔일 / 기한 전에 완수하자 /
모쓰크와 교외의 밤 / 꾀꼴새 / 청춘아 달려라 / 나의 흑해여 / 학들이 날아가네 /
썰매 타는 처녀 / 항구의 저녁 / 우주비행가들의 상봉 / 랑만의 벌판 / 파란 풀 / 풍년노래 /
동무야 친구야! / 당은 우리의 향도자 / 청춘 / 백조의 절개 / 몰다와 처녀 / 봄날인 양 기뻐하네 /
새벽달 / 봄마중 가세 / 조선팔경가 / 노들강변 / 옥야천리 치르치크벌 / 도라지타령 /
무지개이슬 / 아리랑 / 울산타령 / 베틀가 / 흐르는 노래 소리 / 풍구타령 / 은방울꽃 /
소방울 소리 / 한강수타령 / 백금실에 깃든 사랑 / 오, 알마아따! / 사랑의 노래 / 금강산타령 /
경기흥타령 / 여기서 나의 청춘 꽃피여가리 / 새봄이로세 / 전적지의 들장미 / 제비가 / 양산도 /
씨를 활활 뿌려라 / 고향마을 / 동구밖 봇나무 / 술래잡기 / 고향의 봄 / 그리운 님 /
무슨 꽃을 찾느냐 / 먼 하늘 창공에 노래 띄우네 / 기다려다오 / 꽃철의 그날 / 우리는 한민족 /
과수원길 / 우리는 고려인 / 선구자

2. 《선봉》, 《레닌기치》, 《고려일보》에 실린 가사
십진곡 / 바뜨라크 아르랑이 / 륙개훈시 / 동긔방학 / 북두칠성 / 누의님 / 능금 / 자장가 /
김만삼에 대한 노래 / 잘 있거라 / 꼴호즈 풍자타령 / 쓰딸린의 해빛 / 정력 다해 일하라 /
까쓰떼ㄹ로에 대한 추억 / 설날 / 어깨 동무 / 오리 새끼 / 고운 아기 / 강아지 / 과수원 /
봄노래 / 우리 아기 / 평화의 행진곡 / 기다리는 맘 / 달 / 바위노래 / 분꽃 나팔 / 눈 /
흘러가라, 노래여 / 까라딸 / 나비춤 / 기한 전에 완수하자 / 우리 고운녀 / 나의 피리 /
별 / 강철마 부리는 처녀 / 공산당 / 아까치야 / 아름다운 내 나라 / 으뜸 가는 브리가지르 /
께나프농사에 대한 노래 / 행복의 바다로 / 우리당의 은덕이라네 / 눈 / 동전 하나 /
새 시절의 노래 / 땅의 주인 누구냐 / 미더운 일군 / 우리네 꼴호스가 제일이지 / 푸른 함선 /
새들의 회의 / 별 / 어린 나무군 / 형제별 / 반달 / 설날 / 따오기 / 고드름 / 오빠생각 /
금강산 / 축하 마스껨 / 달밤 / 봄나라 / 사랑을 나누며

해제 - 재소고려인 구전가요가 걸어온 발자취와 가요 노랫말에 담긴 고려말의 특징 / 김병학
채보·편곡자의 말 - 언제나 가슴 속에서 솟구치는 노래 / 한 야꼬브
연보 - 재소고려인 가요 작곡가·작사자·가수 연보
가요·가사 분류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