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이응노의 구성시리즈(1963∼72): 문자그림의 기원
서체와 추상미술이 빚어낸 시각적 논리
전통에서 현대미술로, 서구에서 동양의 전통으로
고암의 구성시리즈에 얽힌 비평적 논점들
전통과 현대가 빚어낸 새로운 해석의 논리
문자그림에 관한 비평적 소견

Ⅱ. 김홍주의 글자그림: 회화의 평면성에 내민 도전장
세필로 쓴 글자그림
회화에 관한 문제의식 보여주기
텍스트와 이미지의 공존
텍스트가 이미지가 되고, 이미지가 텍스트가 되다
글자그림의 미학적 논쟁

Ⅲ. 노주환의 <한강의 지혜-1377>: 공간조각으로 변신한 인쇄활자
활자조각이 선사한 새로운 미적 경험
서울전도에서 단어조각으로
활자도시로 변신한 서울시의 도시풍경
도시공간이 조각공간으로, 조각공간에서 활자조각으로
비판의식을 관통한 조각개념의 확장
활자조각이 선사한 역사의식과 새로운 미적 세계

Ⅳ. 박영근의 텍스트회화: 회화의 정체성을 찾아서
병치미학의 시각적 논리
텍스트와 이미지의 만남
텍스트와 이미지의 융합
텍스트회화의 변증법적 병치
병치의 시각적 논리에서 회화의 정체성으로
텍스트 작업 속에 녹아든 회화의 정체성

Ⅴ. 오윤석의 <세한도>(2007): 고행을 관통한 창작의 환희
전통을 찾아서: 추사 김정희의 <완당세한도>(1844)와 현대미술
현대미술 속에 자리한 조선 시대의 문인화
시각미술에서 정체성 뿌리 찾기
자아실현의 근원으로서 텍스트 작업
새로운 재료의 도상학을 찾아서
새로운 비평적 범주에 관한 소견

Ⅵ. 김경주의 텍스트 작업: 의성어의 시각적 논리
들을 수 없는 이미지-볼 수 있는 의성어
(2009∼2010): 회화와 설치미술에서 의성어 관찰하기
텍스트 작업의 관계들에 관하여
물질로서의 색, 글자로서의 색
회화에서 설치미술로, 물질에서 오브제로
새로운 비평을 찾아서

도판 목록
작가 경력
참고문헌

감사의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