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장 한글에 대한 세 가지 오해 _11
첫 번째 오해, 세종대왕은 우리말을 발명했다? _14
두 번째 오해, 한글은 세계 기록유산이다? _17
세 번째 오해, 한글로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다? _19
진정한 자긍심은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_22


2장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_25
훈민정음의 등장 _27
[그림2-1] 세종실록의 훈민정음 관련 기록 _28
두 상소문으로 본, 훈민정음에 대한 의식의 변화 _31
[남은 이야기] 만주자 사용 반대 _37
[그림2-2] 청 태조실록(상단은 만주문자, 하단은 몽골문자) _28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_40
[남은 이야기] ‘언문’은 정말 한글을 낮춰 부르는 이름일까? _43
훈민정음 창제에 영향을 끼친 책들 _48
(1) 삼강행실도: 창제의 동기를 제공하다 _48
[남은 이야기] 상소한 신하들을 치죄하다 _50
외교문서와 한어 학습 _
훈민정음의 부수적 기능


3장 책 『훈민정음』
책의 출현
보사 작업
책의 보수
뒷면의 붓글씨
『십구사략언해』
책의 형식


4장 『훈민정음』의 이본
새로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상주본)
『실록본』
『배자예부운략』본
『훈민정음 언해본』


5장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운용 원리
책의 구성
‘해례’의 뜻
각 장의 내용
훈민정음에 대한 찬사


6장 오랑캐의 글자
서번(티베트)문자
서하문자
몽골문자
거란문자
여진문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