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노래하는
인간의 자화상

영원한 순수 그린 미국 문학의 백미
J. D. 샐린저 / 『호밀밭의 파수꾼』

기억으로 완성한 현대소설의 교향곡
마르셀 프루스트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죽음 앞에서 묻는 인간 존재의 의미
토마스 만 / 『마의 산』

수줍은 거인이 낳은 현대의 묵시록
T. S. 엘리엇 / 『황무지』

남미 대륙의 슬픈 역사 그려낸 마술적 리얼리즘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백년 동안의 고독』

300년 전에 쓰인 판타지 소설, 중세 한국문학의 기념비적 작품
김만중 / 『구운몽』

자연과 인간의 숭고한 결투, 상징주의 문학의 꺾이지 않는 돛대
허먼 멜빌 / 『모비 딕』

죄와 인간에 따뜻한 시선 보내는 미국 근대문학의 위대한 고전
너대니얼 호손 / 『주홍글씨』

전쟁에 희생된 농부의 삶 그려 야만의 역사를 고발하다
콘스탄틴 비르질 게오르규 / 『25시』

무거움과 가벼움의 극적 변주, 현대인 자화상 그린 20세기 걸작
밀란 쿤데라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격변에 희생된 지식인의 삶, 장엄하고 비극적인 서사시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닥터 지바고』

운명과 사랑의 방대한 서사시
빅토르 위고 / 『파리의 노트르담』

“지상에 내려온 왕자는 서툴다” 시대를 앞서 간 현대시의 시조
샤를 보들레르 / 『악의 꽃』

시대와 사랑 앞에 당당한 여성 그린 로맨스 소설의 위대한 고전
샬럿 브론테 / 『제인 에어』

화가 폴 고갱의 삶에서 답을 구하다
서머싯 몸 / 『달과 6펜스』

중동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다
앙투안 갈랑 / 『천일야화』

19세기 파리 인간 군상 그려낸 사실주의 문학의 교과서
오노레 드 발자크 / 『고리오 영감』

세기말 위선적인 권위에 도전한 현대 장르문학의 영원한 원전
오스카 와일드 /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모순에서 시작된 비극적 사랑, 러브 로망의 영원한 원전
조제프 베디에 / 『트리스탄과 이졸데』

“인간의 삶은 그 자체가 이미 역사”
펄 벅 / 『대지』

전 미국인을 반성하게 만든 차이와 관용에 대한 고찰
하퍼 리 / 『앵무새 죽이기』

섬광 같은 시 남긴 로맨티시스트
이백 / 『이백시선』

전 세계 감동시킨 불멸의 스토리텔링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안데르센 동화집』

현대극의 아버지가 쓴 최초의 페미니즘 희곡
헨리크 입센 / 『인형의 집』

젊은 날의 사랑과 방황을 그린 슈베르트 가곡의 원전
빌헬름 뮐러 / 『겨울 나그네』

삶의 본질에
관한 보고서

이탈리아 르네상스 풍자문학의 보석
조반니 보카치오 / 『데카메론』

베일 속 고대사의 비밀 풀어준 한국 스토리텔링의 위대한 원전
일연 / 『삼국유사』

창세기에 인간 의지 접목한 장엄하고 방대한 서사시
존 밀턴 / 『실낙원』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 고독과 실존 파헤친 명상록
블레즈 파스칼 / 『팡세』

‘유토피아’라는 개념 만들어낸 16세기 사회소설의 영원한 고전
토머스 모어 / 『유토피아』

인간은 유전자의 꼭두각시일까? 전 세계를 뒤흔든 문제작
리처드 도킨스 / 『이기적 유전자』

철학의 대가들에게 날 선 비판 던진 20세기 대표 지성
버트런드 러셀 / 『서양철학사』

구조주의 밑그림 그린 전무후무한 명저
페르디낭 드 소쉬르 / 『일반언어학 강의』

전 세계인이 읽는 승자를 위한 바이블
손무 / 『손자병법』

실존주의 철학 창시자가 쓴 불안과 절망에 관한 보고서
쇠렌 키르케고르 / 『죽음에 이르는 병』

“인간은 원래 惡하게 태어났다” 성악설 주창한 유가의 이단아
순자 / 『순자』

“인간은 본질적으로 정치적 동물이다”
아리스토텔레스 / 『정치학』

극단의 시대가 낳은 균형의 지혜
자사 / 『중용』

시인의 가슴 지녔던 과학자의 명저
칼 세이건 / 『코스모스』

성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신비로운 베스트셀러
마르코 폴로 / 『동방견문록』

로마 최고 지성이 써 내려간 노년에 관한 성찰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노년에 관하여』

“나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인간 성찰 담은 에세이의 원조
미셸 에켐 드 몽테뉴 / 『수상록』

현대물리학 역사를 바꾼 ‘사과 한 알’
아이작 뉴턴 / 『프린키피아』

물질문명을 통렬하게 비판하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월든』

현실에 눈뜨며
유토피아를 꿈꾸다

통렬한 역설과 풍자로 그려낸 제2차 대전 전후 독일의 참회록
귄터 그라스 / 『양철북』

정의와 민주주의 개념을 정립하다
플루타르코스 / 『영웅전』

실천적 정치 이론 집대성한 제왕학의 고전
한비 / 『한비자』

자아보다 중요한 타인의 시각, 소외가 두려운 현대인의 초상
데이비드 리스먼 / 『고독한 군중』

버림받은 자들에게 바친 근대문학 최초 베스트셀러
에밀 졸라 / 『목로주점』

자유주의 경제학의 현실적 지평을 넓히다
밀턴 프리드먼 / 『자본주의와 자유』

인간 중심의 역사관을 제시하다
아널드 J. 토인비 / 『역사의 연구』

과대망상 기사의 밉지 않은 좌충우돌 담은 최초의 근대소설
미겔 데 세르반테스 / 『돈키호테』

“모든 예술은 그 시대의 반영이다”
아르놀트 하우저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제국은 전성기 때 멸망하기 시작한다”
에드워드 기번 / 『로마제국 쇠망사』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운명을 내다보다
조지프 슘페터 /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무지몽매한 주인공 아Q로 그려낸 중국 민중의 슬픈 자화상
루쉰 / 『아Q정전』

자유에 관한 영원한 상식을 제시하다
존 스튜어트 밀 / 『자유론』

현대사회의 계급 구조를 파헤치다
C. 라이트 밀스 / 『파워엘리트』

“집단은 왜 이기주의로 흐르는가”
라인홀드 니버 /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현대사회는 풍요로운 만큼 위험하다
울리히 벡 / 『위험사회』

작가 소개
참고 도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