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분 내외의 클립 기반 통합교과교육 영상자료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국어 교과목 지식을 습득하고 통합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1. 그게 무슨 말이야? 언어의 특성 1부 - 언어의 기호성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그 뜻을 소리나 글자, 즉 기호로 나타낸다. 그래서 누군가 말하면 그 내용이 내 머릿속에도 떠오르는 것! 언어의 특성 중 기호성에 대해 알아본다.

2. 그게 무슨 말이야? 언어의 특성 2부 - 언어의 자의성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그 뜻과 기호 사이에 필연적인 관계가 없다. 모두 자의적으로 정해져 있는 기호들을 반복해서 배우고 익힌 것! 언어의 특성 중 자의성에 대해 알아본다.

3. 그게 무슨 말이야? 언어의 특성 3부 - 언어의 사회성
의미와 기호의 관계가 굳어지면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약속이 되고, 그 약속이 지켜졌을 때 우리는 소통을 한다. 언어의 특성 중 사회성에 대해 알아본다.

4. 그래, 네 말이 맞아! 언어의 특성 4부 - 언어의 역사성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끊임없이 변한다. 긴 시간 동안 흐름에 따라 태어나고, 변하고, 사라지는 과정을 겪는 언어. 언어의 특성 중 역사성에 대해 알아본다.


5. 그래, 네 말이 맞아! 언어의 특성 5부 - 언어의 창조성
모든 언어에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단어의 수는 단 400~800개. 한정된 양으로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새로운 표현을 할 수 있는 언어. 언어의 특성 중 창조성에 대해 알아본다.

6. 그래, 네 말이 맞아! 언어의 특성 6부 - 언어의 규칙성
의미를 결정하는 말의 여러 가지 운용방식 문법.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모두 각자의 문법체계를 가지고 있다. 언어의 특성 중 규칙성에 대해 알아본다.

7. 결정적 단서
드라마를 보면서 다음 장면을 예측하는 방법! 대화내용, 중요한 물건, 등장인물의 심리변화에서 나타난 결정적 단서를 찾아 이어질 내용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8. 뒤죽박죽 이야기
이야기 순서가 바뀐 오리너구리가 등장하는 동물마을 애니메이션을 통해 순서대로 이야기를 꾸미는 방법을 살펴보고, 뒷이야기도 어울리게 꾸며본다.

9. 감정의 전달자
엄마 없는 하루를 보내는 아기 햄스터 이야기, 펫 시트콤 ''달려라 도라라''가 만들어지는 가상의 과정을 통해 주인공의 말투 변화가 이야기 전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본다.

10. 비밀의 성
비밀의 성에 사는 주인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수수께끼 풀이를 통해 말의 재미를 느껴보고, 수수께끼 문제를 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