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분 내외의 클립 기반 통합교과교육 영상자료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국어 교과목 지식을 습득하고 통합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1. 나를 키우는 자서전
자서전은 위인만 쓸 수 있다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평범한 이들도 삶을 돌아보며 의미 있는 자서전을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2. 마법의 사과
두 가지의 이야기를 통해 사과는 이해와 용서, 관계 회복을 가져오는 선물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사과하는 말의 필요성과 방법을 알아본다.

3. 내 마음속의 밥
문학 작품의 주제와 분위기를 결정하는 어조, 그리고 심상을 우리가 매일 먹는 밥을 시제로 한 재미있는 시 두 편을 통해 알아본다.

4. 비겁한 용기
한 학생이 만든 선플 UCC를 통해 타인에게 안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남에게 상처를 입히는 악성 댓글의 문제점을 짚고, 희망을 주는 댓글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본다.

5. 마라토너 리마의 미소
마라톤 경기 도중 관중의 난입 사건으로 1위를 놓친 리마선수. 이를 바라본 관점의 차이에 따라 뉴스 내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본다.

6. 눈에 쏙쏙 귀에 쏙쏙
한 시골학교 아이들이 지은 시를 엮어 동시집을 만든 사례를 통해 비슷하게 반복되는 글자 수와 말들로 만들어지는 운율이 노래가 될 수 있음을 알아본다.

7.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 형태소 1부
더 이상 자음과 모음으로 쪼갤 수 없고, 쪼개면 그 뜻을 잃어버리는 가장 작은 단위의 말 형태소를 통해 수많은 문장이 최소한의 형태소에서 시작되었음을 알아본다.

8. 얼마나 작든, 얼마나 불완전하든 - 형태소 2부
서로 필요한 만큼 의지하면서 자신의 가치를 발휘해 언어의 탑을 쌓는 형태소의 성질을 살펴보고, 형태소들의 결합으로 수없이 많은 이야기가 탄생한다는 것을 알아본다.

9. 사오정 청개구리
평소 말귀를 못 알아듣는 청개구리 이야기를 통해 글자의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낱말인 동음이의어에 대해 쉽고 재밌게 알아본다.

10. 경험의 메아리
오랜 시간을 이어온 선조의 지혜를 전하는 속담산이 아이들에게 다양한 속담을 들려주는 상황을 통해 속담의 의미와 그 활용법을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