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를 찾기 위한 만행萬行의 길

살해된 조선 왕비 그리고 슬픈 장례식의 기록
● 명성황후가 잠든 곳, 홍릉에서
● 빼앗긴 자존심과 역사의 기록을 되찾기 위해

조선의 심장을 찌른 칼
● 히젠도 - 늙은 여우를 단칼에 찌르다
● 명성황후 살해사건이 부른 피의 복수
● 오늘의 한일 문제를 생각한다
● 에이조 문서 - 일본인이 남긴 역사의 진실
● 조선왕실의궤를 찾아 다시 길을 떠나다

‘조선왕실의궤환수위’의 탄생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의 환수
조선왕조실록 환수운동의 준비 과정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의 개요
환수운동의 계기와 자료조사
‘조선왕조실록환수위’의 구성
환수를 둘러싼 논쟁의 주요 논점
약탈 문화재의 입증 여부
유네스코 협약
도쿄대학의 불법 점유
한일협정의 문제
재산 처리규정의 미비
조선왕조실록 환수운동의 의의
조선왕실의궤란 무엇인가?
조선왕실의궤의 개요
조선왕실의궤 약탈 경위
일본 궁내청 서릉부의 의궤 소장 현황
일본 궁내청 점유의 부당성

조선왕실의궤 환수운동의 제1막

조선왕실의궤 환수운동의 목표와 계획
일본 궁내청 방문 - 조선왕실의궤를 직접 열람하다
일본 천황궁에 가다 -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를 보다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를 가다
17대 국회 ‘일본 궁내청 소장 조선왕실의궤 반환 촉구결의안’ 채택
남북공조를 통한 ‘민족 문화재의 제자리 찾기’를 시도하다
일본 황실 상대로 법적 조치에 돌입
일본 국회의원, ‘환수위’의 외침에 호응하다
일본 외무성과의 첫 번째 만남
일본 의원의 한국 방문 - 의원 외교를 시작하다
한일의원연맹 서울총회에서 조선왕실의궤를 다루다
아사히신문, ‘조선왕실의궤 문제’를 보도하다
일본 의원과의 교류 확대와 외무성과의 2차 회담
일본 외무 부대신과의 만남 그리고 진정서의 제출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을 전후한 움직임과 노력
첫 번째 정상회담을 위한 추가적 조치


안중근의 총알

안중근의 총알을 만난 인연
이토 저격의 순간
일본 헌정기념관에 남겨진 총알
이명박 정부의 실용외교 - 안중근을 다시 생각한다

조선왕실의궤 환수운동의 제2막

중국 구화산으로 떠난 순례의 길
민족 문화재 환수를 위한 평양 방문
일본 총리에게 남북공동요청서 제출
지방자치단체들의 의궤 환수운동
유네스코 불법 문화재 환수 촉진을 위한 정부 간 위원회의 서울 개최
보스턴미술관 사리구의 환수운동
제2차 평양 방문과 남북 공동 출판

● 명성황후 ‘시해’란 용어는 바로 잡아야 한다

조선왕실의궤, 불가능을 넘어 현실로 진입하다
나는 왜 조선왕실의궤 환수운동을 진행하는가?
18대 국회 결의안 채택과 언론의 주목
의원 외교의 확대와 외무성의 입장 변화
7월의 주요한 변화 - 이제부터 승부다
도쿄에서의 마무리 활동 - 한국 정부는 의궤 반환을 공식 요청하라
마지막 남은 과제 - 일본 정부의 자발적 결정을 촉구한다
의궤 환수 운동의 종결 - 봉선사로의 귀환
혼이 담긴 계란이 바위를 깨뜨리다

에필로그: 의궤, 잃어버린 조선의 보물이 돌아온다

● 조선왕실의궤 환수활동 주요 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