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제 1장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1. 한글 이전의 문자생활 010
[사진1] 광개토대왕비 011
[사진2] 단양 적성비 011
[사진3] “화엄경” 중 일부 016
[사진4]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016
[사진5]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017
[사진6]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017
[사진7] 점토의 기입영역 018
[사진8] 점도 018
[사진9] “구역인왕경” 상권 중 일부 019

2. 한글의 창제와 “훈민정음” 반포 023
[사진10] ‘정인지 서문’ 중 일부 025
[사진11] 최만리 등 ‘갑자상소문’ 026
[사진12] 훈민정은 창제 관련 기사 028
[사진13] “훈민정음” 이루어짐 관련 기사 028
[사진14] “훈민정음” 028
[사진15] 속칭 “훈민정음” 첫 장 028

3. 한글의 원리와 특징 030

제 2장 쉽게 익혀서 편히 쓰니
1. 널리 한글을 펴다 040
⑴ 누구나 알기 쉬운 한글로 040
[사진1] “법화경언해” 041
[사진2] “원각경언해” 043
[사진3] “몽산법어언해” 043
[사진4] “소학언해” 045
[사진5] “중용언해” 045
[사진6] “맹자언해” 045
[사진7] “두시언해” 046
[사진8] “명황계감언해” 046

⑵ 외국어 배움을 한글로 047
[사진9] “천자문” 048
[사진10] “훈몽자회” 049
[사진11] “백련초해” 049
[사진12] “몽어유해 053
[사진13] “첩해신어” 053
[사진14] “청어노걸대” 055

⑶ 종교의 세계를 한글로 056
[사진15] “부모은중경언해” 056
[사진16] “진언집” 056
[사진17] “태상감응편도설언해” 058
[사진18] “주교요지” 058
[사진19] “천로역정” 060
[사진20] “천로역정” 060

⑷ 실용 지식을 한글로 061
[사진21] “간이벽온방언해” 061
[사진22] “무예제보” 064
[사진23] “규합총서” 067
[사진24] “음식방문” 068

2. 삶 속에 자리 잡다 069
⑴ 한글로 전하는 생각 069
[사진25] 별봉의 예① 김정희가 아내 예안이씨에게 보낸 편지 070
[사진26] 별봉의 예① 명성황후가 조카 민영소에게 보낸 편지 070
[사진27] 별봉의 예① 송익흠이 아내 여흥민씨에게 보낸 편지 070
[사진28] 봉투 규식의 예-“언간독” 중 일부 071
[사진29] 규식을 갖춘 언간의 봉투 071
[사진30] 규식을 간략화한 봉투 071
[사진31] 내지의 지면 활용 방법 072
[사진32] 내지의 지면을 활용한 실제 예 072
[사진33] 효종이 딸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073
[표1] 발신자별 왕실 연간 현존 현황 074
[사진34] 1. 정조가 원손 때 외숙모(여흥민씨)에게 보낸 편지 075
2. 정조가 세손 때 외숙모(여흥민씨)에게 보낸 편지
3. 정조가 재위(14년) 때 외숙모(여흥민씨)에게 보내는 편지
[표2] 사대부가 언간의 현황 077
[사진35] 채무이가 아내 순천김씨에게 보낸 편지 078
[사진36] 원이 엄마 편지 080
[사진37] 김노경이 아내 기계유씨에게 보낸 편지 080
[사진38] 김정희가 아내 예안이시에게 보낸 편지 080
[사진39] 김시 뷰ㅜ인이 영조에게 올린 상언 083
[사진40] 이순이 발급한 수표 085
[사진41] 의양단자 085
[사진42] “은사첩” 085
[사진43] 의대발기 086
[표4] 윤음 087
[사진44] “유중외대소민인등척사윤음” 088
[사진45] “삼강행실도” 088
[사진46] “오륜행실도” 089
[사진47] 행실도 병풍 090

⑵ 한글로 누리는 일상 091
[사진48] 백자 떡살 091
[사진49] 목제 떡살 091
[사진50] 나무 소반 092
[사진51] 실패 092
[사진52] 색실첩 093
[사진53] 저고리본 093
[사진54] 을축ㆍ무술년에 태어난 사람의 복을 빌어주는 버선본 093
[사진55] 습례국 095
[사진56] “습례국도설” 095
[사진57] 오행점윷과 오행점책 096
[사진58] 백첨과 백첨책 096

⑶ 한글로 쓰는 상상 098
[사진59] “송강가사” 098
[사진60] “고산유고” 098
[사진61] “청구영언” 099
[사진62] “홍길동전” 099

⑷ 한글로 더하는 흥 100
[사진63] “열녀츈향슈절가라” 100
[사진64] 시조창 악보 100
[사진65] ‘노세 젊어 노세’ 악보101

제 3장 세상에 널리 퍼져 나아가니
1. 새 모습으로 거듭나다 104
⑴ 국문으로서의 한글 104
[사진1] 1894년 11월 칙령 제1호 공문식 105
⑵ 한글 연구 108
[사진2] “서유견문” 110
[사진3] “국어문법” 111
[사진4] “국어문전음학” 111
[사진5] “주시경선생유고” 112
[사진6] “한글” 창간호 115
[사진7] “한글마춤법통일안” 116
[사진8] “사정한조선어표준말모음” 116
[사진9] “한영자전” 118
[사진10] “한불자전” 118
[사진11] “말모이” 원고 119
[사진12] “조선말 큰 사전” 원고 120
[사진13] “우리말 도로 찾기” 120

⑶ 한글 교육 122
[사진14] “언문 반절표” 123
[사진15] “사민필지” 123
[사진16] “소학독본” 124
[사진17] “신정심상소학” 124
[사진18] “노동야학독본” 127
[사진19] “언문” 128
[사진20] “보통학교 조선어독본‘ 129
[사진21] “한글 첫 걸음” 131
[사진22] “초등 국어1-1(바둑이와 철수) 132
[사진23] “중등국어교본” 133
[사진24] “중등국어” 133
[사진25] “신생중등국어” 133
[사진26] “문맹퇴치인민독본” 133

2. 근대의 물결과 마주하다 134
⑴ 한글과 근대 출판 134
[사진27] “한성주보” 136
[사진28] “독립신문” 136
[사진29] ‘황성신문’ 137
[사진30] “대한매일신보” 137
[사진31] “아이들보이” 138
[사진32] “어린이” 138
[사진33] “소년” 139
[사진34] “진학” 139
[사진35] “현대문학” 139
[사진36] “감자” 141
[사진37] “박씨전” 143
[사진38] “세종대왕실기 143
[사진39] “김진옥전” 143
[사진40] “청록집” 144
[사진41]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44

⑵ 한글 기계화 146
[사진42] 못이나 펜을 사용한 필기도구 146
[사진43] 날짐승의 깃털을 이용한 필기도구 146
[사진44] 이집트 상형 문자 146
[사진45] 영문실용 타자기를 개발한 크리스토퍼 래댐 슐즈 147
[사진46] 래밍턴 1호기 147
[사진47] 밀워키에 있던 숄즈 147
[사진48] 자신이 개발한 DSX 타자기를 앞에 놓은 드보락 148
[사진49] “Typewriting Behavior(타자 동작 연구)”와 번역서 148
[사진50] 손과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연구해 DSX 글자판 배열 제작에 기여한 길브레스 148
[사진51] 이원익의 5벌식 타자기 149
[사진52] 송기주의 풀어쓰기 타자기 149
[사진53] 김준성의 풀어쓰기 한영 겸용 타자기 149
[사진54] 공병우 타자기 150
[사진55] 육이오 전쟁 당시 공병우 3벌식 속도 타자기로 작성된 문서 150
[사진56] 공병우 박사의 삼청동 자택에서 공병우 박사와 필자 151
[사진57] 김동훈과 5벌식 타자기 글자판 151
[사진58] 송계범과 전산용 타자기 글자판 152
[사진59] 장봉선과 3벌식 글자판과 타자 예시 152
[사진60] 공판 타자기 153
[사진61] 베리 타이프 153
[사진62] 북 모양 활자틀 타자기 153
[사진63] 활자통식(원통식) 공판 타자기 154
[사진64] 한글 기계화 토론화 154
[사진65] 정보처리용 글자판 배열, 표준글자판 4벌식 154
[사진66] 개정 표준 글자판 156
[사진67] 정보 처리용 한글 자모의 배열 156
[사진68] ‘정보화 시대에 따르는 민족어의 통일적 발전과 언어 정보 산업 표준’에 관한 학술 모임 157
[사진69] 원시 통신 수단이 봉화대(서울 남산) 157
[사진70] 한글 모스 부호와 모스 통신기 158
[사진71] 우리나라 무선 통신에 쓰인 각종 단말기 158
[사진72-1] 삼성전자 휴대 전화의 글자판(천지인) 159
[사진72-2] LG전자 휴대 전화의 글자판(나랏글) 159
[사진72-3] SKT 휴대전화의 글자판 159
[사진72-4] 네오패드 키패드 159
[사진72-5] 정화성식 글자판 159
[사진72-6] VK식 글자판 159
[사진72-7] 팬택 큐리텔식 글자판 159
[사진73] 연희전문학교 타자 수업 160
[사진74] 타자실 수업광경 160
[사진75] 각종 타자 교본 160
[사진76] 1963년 상업고등학교의 선택과목이 된 타자 교과서 161
[사진77] 국가기술자격검정 “한글타자” 1-3급 시험지 161
[사진78] ‘문서실무’ 교과서 162
[사진79] 한글과 한글 타자의 중요성을 일깨웠던 ‘타자뉴스’, ‘한글타자’ 소식지 162
[사진80] 당시 타자 회보는 한글 타자기로 편집한 조잡한 것이었지만, 독자들에는 한글 지식과 교육의 길잡이가 되었다. 162

3. 현재를 살아가다 163
⑴ 한글, 아름다운 한글 163
[사진81] “옥원중회연” 164
[사진82] 독본체의 예 164
[사진83] “오륜행실도”의 서체와 최정호 명조체 비교 164
[사진84] 손멋글씨 ‘꽃’ 167
[사진85] 한글 누리체(윤디자인) 167
[사진86] 한글 디자인 상품 169
[사진87] 한글 디자인 간판 170
[사진88]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171
⑵ 한글, 우리말의 그릇 172[사진89] “노걸대”류를 통해 16-18세기의 우리말을 비교한 정보 영상 174
[사진90] 사람, 음식, 교육 등에 관한 43쌍의 남북한 어휘를 비교한 정보 영상 175
[사진91] “방언집” 177
[사진92] 전국의 방언 어휘를 비교한 정보 영상 177

⑶ 한글, 정보화 시대의 문자 179
[사진93] 두벌식 한글 자판 글자 배치도 179
[사진94] 복합 문자를 2개의 문자로 파악하는 경우 181
[사진95] 복합 문자를 3개의 문자로 파악하는 경우 182
[표1] ‘성묘’와 ‘서민’의 정렬 순서 182
[표2] ‘서민과’ ‘성묘’의 정렬 순서 182
[표3] 2바이트 고정 길이 한글 코드 183
[표4] 한글 초성, 중성, 종성 할당표 183
[사진96] 문자와 음절의 정보를 함께 인코딩 187
[사진97] 음절의 정보만 인코딩 187
[표5] 한글코드 표준화 과정 188

용어 해설 및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