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1. 한글 이전의 문자생활 010
[사진1] 광개토대왕비 011
[사진2] 단양 적성비 011
[사진3] “화엄경” 중 일부 016
[사진4]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016
[사진5]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017
[사진6]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017
[사진7] 점토의 기입영역 018
[사진8] 점도 018
[사진9] “구역인왕경” 상권 중 일부 019
2. 한글의 창제와 “훈민정음” 반포 023
[사진10] ‘정인지 서문’ 중 일부 025
[사진11] 최만리 등 ‘갑자상소문’ 026
[사진12] 훈민정은 창제 관련 기사 028
[사진13] “훈민정음” 이루어짐 관련 기사 028
[사진14] “훈민정음” 028
[사진15] 속칭 “훈민정음” 첫 장 028
3. 한글의 원리와 특징 030
제 2장 쉽게 익혀서 편히 쓰니
1. 널리 한글을 펴다 040
⑴ 누구나 알기 쉬운 한글로 040
[사진1] “법화경언해” 041
[사진2] “원각경언해” 043
[사진3] “몽산법어언해” 043
[사진4] “소학언해” 045
[사진5] “중용언해” 045
[사진6] “맹자언해” 045
[사진7] “두시언해” 046
[사진8] “명황계감언해” 046
⑵ 한글 기계화 146
[사진42] 못이나 펜을 사용한 필기도구 146
[사진43] 날짐승의 깃털을 이용한 필기도구 146
[사진44] 이집트 상형 문자 146
[사진45] 영문실용 타자기를 개발한 크리스토퍼 래댐 슐즈 147
[사진46] 래밍턴 1호기 147
[사진47] 밀워키에 있던 숄즈 147
[사진48] 자신이 개발한 DSX 타자기를 앞에 놓은 드보락 148
[사진49] “Typewriting Behavior(타자 동작 연구)”와 번역서 148
[사진50] 손과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를 연구해 DSX 글자판 배열 제작에 기여한 길브레스 148
[사진51] 이원익의 5벌식 타자기 149
[사진52] 송기주의 풀어쓰기 타자기 149
[사진53] 김준성의 풀어쓰기 한영 겸용 타자기 149
[사진54] 공병우 타자기 150
[사진55] 육이오 전쟁 당시 공병우 3벌식 속도 타자기로 작성된 문서 150
[사진56] 공병우 박사의 삼청동 자택에서 공병우 박사와 필자 151
[사진57] 김동훈과 5벌식 타자기 글자판 151
[사진58] 송계범과 전산용 타자기 글자판 152
[사진59] 장봉선과 3벌식 글자판과 타자 예시 152
[사진60] 공판 타자기 153
[사진61] 베리 타이프 153
[사진62] 북 모양 활자틀 타자기 153
[사진63] 활자통식(원통식) 공판 타자기 154
[사진64] 한글 기계화 토론화 154
[사진65] 정보처리용 글자판 배열, 표준글자판 4벌식 154
[사진66] 개정 표준 글자판 156
[사진67] 정보 처리용 한글 자모의 배열 156
[사진68] ‘정보화 시대에 따르는 민족어의 통일적 발전과 언어 정보 산업 표준’에 관한 학술 모임 157
[사진69] 원시 통신 수단이 봉화대(서울 남산) 157
[사진70] 한글 모스 부호와 모스 통신기 158
[사진71] 우리나라 무선 통신에 쓰인 각종 단말기 158
[사진72-1] 삼성전자 휴대 전화의 글자판(천지인) 159
[사진72-2] LG전자 휴대 전화의 글자판(나랏글) 159
[사진72-3] SKT 휴대전화의 글자판 159
[사진72-4] 네오패드 키패드 159
[사진72-5] 정화성식 글자판 159
[사진72-6] VK식 글자판 159
[사진72-7] 팬택 큐리텔식 글자판 159
[사진73] 연희전문학교 타자 수업 160
[사진74] 타자실 수업광경 160
[사진75] 각종 타자 교본 160
[사진76] 1963년 상업고등학교의 선택과목이 된 타자 교과서 161
[사진77] 국가기술자격검정 “한글타자” 1-3급 시험지 161
[사진78] ‘문서실무’ 교과서 162
[사진79] 한글과 한글 타자의 중요성을 일깨웠던 ‘타자뉴스’, ‘한글타자’ 소식지 162
[사진80] 당시 타자 회보는 한글 타자기로 편집한 조잡한 것이었지만, 독자들에는 한글 지식과 교육의 길잡이가 되었다. 162
3. 현재를 살아가다 163
⑴ 한글, 아름다운 한글 163
[사진81] “옥원중회연” 164
[사진82] 독본체의 예 164
[사진83] “오륜행실도”의 서체와 최정호 명조체 비교 164
[사진84] 손멋글씨 ‘꽃’ 167
[사진85] 한글 누리체(윤디자인) 167
[사진86] 한글 디자인 상품 169
[사진87] 한글 디자인 간판 170
[사진88]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171
⑵ 한글, 우리말의 그릇 172[사진89] “노걸대”류를 통해 16-18세기의 우리말을 비교한 정보 영상 174
[사진90] 사람, 음식, 교육 등에 관한 43쌍의 남북한 어휘를 비교한 정보 영상 175
[사진91] “방언집” 177
[사진92] 전국의 방언 어휘를 비교한 정보 영상 177
⑶ 한글, 정보화 시대의 문자 179
[사진93] 두벌식 한글 자판 글자 배치도 179
[사진94] 복합 문자를 2개의 문자로 파악하는 경우 181
[사진95] 복합 문자를 3개의 문자로 파악하는 경우 182
[표1] ‘성묘’와 ‘서민’의 정렬 순서 182
[표2] ‘서민과’ ‘성묘’의 정렬 순서 182
[표3] 2바이트 고정 길이 한글 코드 183
[표4] 한글 초성, 중성, 종성 할당표 183
[사진96] 문자와 음절의 정보를 함께 인코딩 187
[사진97] 음절의 정보만 인코딩 187
[표5] 한글코드 표준화 과정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