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목적 = 1
2. 연구목표 = 4
3. 한글의 개념 = 7
(1) 한글의 명칭 = 7
(2) 한글의 범위 = 10
(3) 옛한글의 범위 = 19
(4) 한글코드의 범위 = 21
4. 기존의 한글 코드에 대한 검토 = 25
(1) 한국 = 26
[1] KSC 5601 = 26
[2] KSC 5657 = 29
[3] KSC 5700 = 36
(2) 중국 = 41
(3) 북한 = 58
5. 한글 자모 선정의 문제점 및 선정기준 = 62
(1) 자모 선정의 문제점 = 62
(2) 자모 선정의 기준 = 62
[1] 고유어 표기의 옛한글 = 66
[2] 외국어 표기의 옛한글 = 75
(3) 한글 자모 선정을 위한 실증적 조사 = 79
[1] 초성 = 84
[2] 중성 = 103
[3] 종성 = 118
(4) 한글 코드의 목록 및 그 분포 = 138
[1] 초성 = 139
[2] 중성 = 149
[3] 종성 = 156
(5) 자모 선정의 기준 = 173
(6) 한글 자모의 배열순서 = 178
6. 구결문자
(1) 한국어전산학회의 구결자 코드 체계 = 187
(2) 한글 2.0의 구결문자 = 188
[1] 제정과정 = 188
[2] 제정원칙 = 190
[3] 한글 2.0의 구결자의 문제점 = 191
(3) 구결자의 코드체계를 설정하기 위한 원칙 = 192
(4) 구결자료 목록 = 196
(5) 구결자 목록 = 197
7. 결론 = 219
참고문헌 = 221
부록(옛한글 음절글자 목록)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