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국어 문법사 연구

[전정예] 선어말어미 ‘-오-’ 연구론
[정수현] ‘-오-’ 연구사
[백낙천] 언간에 나타난 의도형 접속어미의 형태론
[안주호] 현대국어 연결어미 {-면서}의 문법화 과정
[박형우] 15세기 ‘말다’ 부정문 연구
[허원욱] 중세국어 인용구조
[윤혜영]『명의록 언해』에 나타난 인용구조 연구 : ‘존현각 일기’를 중심으로
[박철주] 명사구내포문에서의 ‘-오-’와 동명사형어미의 기능에 대한 연구 : 대명률직해를 중심으로
[최대희] 17세기 국어의 ‘-ㄴ/ㄹ+것-’ 구조 연구
[박진호] 韓國語 文法史에서 助動詞 槪念의 定立을 위하여
[김정호] 20세기 초기 국어 청자 높임법의 변화에 대한 통계적 분석 : 대화 참여자의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제2부 국어 어휘사 연구

[박동근] 17세기 흉내말의 어휘 구조 연구
[고은숙]『관북유람일기(關北遊覽日記)』의 어휘 고찰
[황선엽] 쓸모 있는 가죽나무
[김양진]『언간의 연구』(1986/1991, 김일근) 소재 윤선도 언간 2편의 종합적 검토
[최중호] ‘고개’의 어원 연구
[최미현] 梔子의 명칭, ''지지''와 ''치''에 대하여
[고경민] 근대계몽기 한국어 학습서의 품사분류 체계와 기준 : 전통적인 품사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이소영]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휘 계 변화


제3부 국어 계통, 문자사 연구

[김슬옹] 삼국시대 언어의 동질설・이질설과 한국어 계통론 : 세 설의 상관 관계
[김유범] 고대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를 통해 본 한국의 차자표기법 : 소리보조글자와 말음첨기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재영] 문자 사용 방식에 따른 국어 문체 변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