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一. 總論
Ⅰ. 古代韓國語의 時代區分
Ⅱ. 韓國語의 上代資料
Ⅲ. 古代韓國에 있어서 漢籍・佛典의 傳來와 受容에 대하여

二. 上古韓國語
Ⅰ. 上古時代에 있어서 借字表記法의 發達
Ⅱ. 韓國語 史料로서의 󰡔三國史記󰡕 檢討
Ⅲ. 中原高句麗碑文의 解讀과 그 吏讀的 性格에 대하여
Ⅳ. 韓國의 古代吏讀文의 文末語助辭 ‘之’에 대하여
Ⅴ. 居伐牟羅와 耽牟羅

三. 中古韓國語
Ⅰ. 新羅僧 順憬과 憬興의 法華經 註釋書에 대하여
Ⅱ.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薛聰 關聯 記事의 意味
Ⅲ. 新羅時代 口訣의 再構를 위하여
Ⅳ. 海印寺藏 毘盧遮那佛像의 墨書 吏讀文 解讀
Ⅴ. 借字表記와 中古韓國語의 語形
Ⅵ. 中古韓國語의 單母音化
Ⅶ. 時相의 助動詞 ‘在//겨-’의 發達
Ⅷ. 薯童謠의 ‘卯乙’에 대하여

四. 近古韓國語
Ⅰ. 高麗時代의 言語・文字觀
Ⅱ. 高麗時代의 點吐口訣에 대하여
Ⅲ. 高麗時代 点吐釋讀口訣의 解讀 試考
Ⅳ. 口訣의 上代資料와 그 類型
Ⅴ. 字吐釋讀口訣에 나타난 不讀字에 대하여
Ⅵ. 釋讀口訣에 쓰인 ‘支’의 機能에 대하여
Ⅶ. 條件法 連結語尾 ‘-면’의 發達

參考文獻
이 책에 실린 論文의 出典
索引
附錄:金石文과 古文書의 上古・中古語 索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