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고전번역의 문화사적 의미
문명번역과 훈민정음 - 세종의 창제의도에 관하여│정석태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 중화문명권으로의진입과 탈출을 중심으로│김풍기
한시 번역의 문화사적 의미 -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 생활을 중심으로│이종목
한문 고전서사의 문화적 전환과 번역 - 국문본『태평광긔』를 중심으로


제2부 언해의 고전번역학적 의미
경서언해 한토막의 고전번역학적 성찰│김용철
조선 중기 경서언해의성립과 그 의미│이영호ㆍ한영규
불전언해의 국어사적 의의 - 중기국어 불전언해를 중심으로│정우영
조선 전기의 두시언해와 고전번역의 문화적 지평│김남이
조선 시대의 번역 표기에 대한 번역학적 고찰│서민정


제3부 고전번역학의 동아시아적 확산
일본의 훈독과 번역 - 현지화된 문자로서│사이토 마레시
일본 문헌의 번역을 통해 굴절된 한국고전 - 『산수격몽요결』연구│임상석
서구의 한국번역, 19세기 말 알렌의 한국 고소설 번역 - ''민족지''로서의 고소설, 그 속에 재현된 한국의 문화│이상현
근대 한국의 서구 문학 번역 - 홍난파와 번역가의 탄생│박진영
근대 중국의 서구 개념 번역 - 번역, 그 후│유욱광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