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일러두기 = 6
제1장 음운과 변이음
1. 음운 = 25
1.1 음운의 성격 = 25
1.1.1 음운의 정의 = 25
1.1.2 음운과 최소대립쌍 = 25
1.2 음운의 분류 = 26
1.2.1 음운의 구성 = 26
1.2.2 음소의 특징 = 26
1.2.3 운소의 특징 = 27
2. 변이음 = 29
2.1 변이음의 성격 = 29
2.1.1 변이음의 정의 = 29
2.1.2 변이음과 상보적 분포 = 29
2.2 국어의 변이음 = 30
2.2.1 ''ㅂ,ㄷ,ㄱ''의 변이음 = 30
2.2.2 ''ㄹ''의 변이음 = 31
2.2.3 ''ㅎ''의 변이음 = 32
2.2.4 ''ㄴ,ㅅ''의 변이음 = 33
3. 마무리 = 34
3.1 요약 = 34
3.2 참고 문헌 = 34
3.3 연습 문제 = 34
제2장 음운 체계
1. 자음 체계 = 39
1.1 자음의 조음 방법 = 39
1.1.1 파열음 = 39
1.1.2 마찰음 = 40
1.1.3 파찰음 = 41
1.1.4 비음 = 42
1.1.5 유음 = 43
1.2 자음의 조음 위치 = 44
1.2.1 양순음 = 44
1.2.2 치조음 = 44
1.2.3 경구개음 = 45
1.2.4 연구개음 = 45
1.2.5 후두음 = 45
1.3 국어의 자음 체계 = 48
2. 모음 체계 = 49
2.1 단모음 체계 = 50
2.1.1 단모음의 수 = 50
2.1.2 단모음의 분류 기준 = 50
2.1.3 혀의 높낮이에 의한 분류 = 50
2.1.4 혀의 전후 위치에 의한 분류 = 51
2.1.5 입술의 모양에 의한 분류 = 52
2.1.6 국어의 단모음 체계 = 53
2.2 이중모음 체계 = 54
2.2.1 이중모음의 정의 = 54
2.2.2 활음 = 54
2.2.3 이중모음의 종류 = 55
2.2.4 국어의 이중모음 체계 = 57
3. 운소 체계 = 58
3.1 장단 = 58
3.2 고저(=성조) = 59
3.3 억양 = 61
4. 마무리 = 61
4.1 요약 = 61
4.2 참고 문헌 = 62
4.3 연습 문제 = 62
제3장 변별적 자질
1. 변별적 자질의 성격 = 69
1.1 변별적 자질의 정의 = 69
1.2 변별적 자질의 특성 = 70
1.3 변별적 자질의 장점 = 71
2. 주요 분류 자질 = 72
3. 자음 분류 자질 = 73
3.1 조음 위치 자질 = 73
3.2 조음 방법 자질 = 74
4. 모음 분류 자질 = 76
5. 마무리 = 79
5.1 요약 = 79
5.2 참고 문헌 = 80
5.3 연습 문제 = 80
제4장 음절
1. 음절의 성격 = 85
1.1 음절의 정의 = 85
1.2 음절의 중요성 = 85
2. 음절의 내부 구조 = 86
2.1 음절의 구성 성분 = 86
2.2 음절 구성 성분의 위계 = 87
3. 음절의 유형 = 88
3.1 음절과 관련된 제약 = 88
3.2 국어의 음절 유형 = 89
3.3 음절의 종류 = 90
4. 음절 경계 = 91
4.1 음절화의 정의 = 91
4.2 국어의 음절화 절차 = 91
5. 마무리 = 93
5.1 요약 = 93
5.2 참고 문헌 = 93
5.3 연습 문제 = 93
제5장 음운론적 제약
1. 음운론적 제약의 성격 = 99
1.1 음운론적 제약의 정의 = 99
1.2 음운론적 제약의 체계 = 100
2. 음소에 대한 제약 = 101
2.1 음소 구조 제약 = 101
2.1.1 음소 구조 제약의 정의 = 101
2.1.2 국어의 음소 구조 제약 = 102
2.2 음소 배열 제약 = 104
2.2.1 음소 배열 제약의 정의 = 104
2.2.2 국어의 음소 배열 제약 = 104
3. 음절에 대한 제약 = 106
3.1 음절 구조 제약 = 106
3.1.1 음절 구조 제약의 정의 = 106
3.1.2 국어의 음절 구조 제약 = 106
3.2 음절 배열 제약 = 107
3.2.1 음절 배열 제약의 정의 = 107
3.2.2 국어의 음절 배열 제약 = 108
4. 음운론적 단어에 대한 제약 = 109
4.1 단어 구조 제약 = 109
4.1.1 단어 구조 제약의 정의 = 109
4.1.2 국어의 단어 구조 제약 = 109
4.2 단어 배열 제약 = 110
4.2.1 단어 배열 제약의 정의 = 110
4.2.2 국어의 단어 배열 제약 = 110
5. 마무리 = 111
5.1 요약 = 111
5.2 참고 문헌 = 112
5.3 연습 문제 = 112
제6장 음운 현상
1. 음운 현상의 성격 = 117
1.1 음운 현상의 정의 = 117
1.2 음운 현상의 유형 = 118
2. 대치 = 119
2.1 음절말 평파열음화 = 119
2.2 비음 동화 = 121
2.3 비음화 = 122
2.4 유음화 = 122
2.5 경음화 = 124
2.6 위치 동화 = 125
2.7 구개음화 = 126
2.8 활음화 = 127
2.9 모음의 완전순행동화 = 128
2.10 움라우트 = 130
2.11 원순모음화 = 130
2.12 비원순모음화 = 131
2.13 전설모음화 = 132
2.14 모음조화 = 133
2.15 단모음화 = 135
3. 탈락 = 137
3.1 자음군 단순화 = 137
3.2 후음 탈락 = 138
3.3 으-탈락 = 139
3.4 유음 탈락 = 140
3.5 동일모음 탈락 = 141
3.6 y-탈락 = 142
3.7 ㄷ-탈락 = 142
4. 첨가 = 143
4.1 ㄴ-첨가 = 143
4.2 활음 첨가 = 144
5. 축약 = 145
5.1 유기음화 = 145
5.2 모음 축약 = 146
6. 도치 = 148
6.1 자음 도치 = 148
6.2 모음 도치 = 148
7. 마무리 = 148
7.1 요약 = 148
7.2 참고 문헌 = 149
7.3 연습 문제 = 150
제7장 교체
1. 교체의 성격 = 155
1.1 교체의 정의 = 155
1.2 교체와 이형태 = 155
2. 교체의 유형 = 156
2.1 교체 동기에 의한 분류 = 156
2.2 교체 성격에 의한 분류 = 157
2.3 교체 환경에 의한 분류 = 159
3. 교체의 설명 방법 = 161
4. 마무리 = 162
4.1 요약 = 162
4.2 참고 문헌 = 163
4.3 연습 문제 = 163
제8장 기저형
1. 기저형의 설정 = 169
1.1 기저형의 정의 = 169
1.2 기저형의 설정 방법 = 170
2. 추상적 기저형 = 173
2.1 추상적 기저형의 정의 = 173
2.2 추상적 기저형의 판별 조건 = 173
3. 기저형의 유형 = 177
3.1 단수 기저형 = 177
3.2 복수 기저형 = 178
4. 마무리 = 180
4.1 요약 = 180
4.2 참고 문헌 = 180
4.3 연습 문제 = 181
제9장 음운론적 도출
1. 음운론적 도출의 성격 = 187
1.1 음운론적 도출의 정의 = 187
1.2 음운론적 도출의 구조 = 188
1.3 음운론적 도출의 원칙 = 189
2. 중간 층위 = 189
3. 규칙순 = 191
3.1 규칙순의 필요성 = 191
3.2 규칙순의 일관성 = 192
3.3 규칙순의 유형 = 193
4. 마무리 = 197
4.1 요약 = 197
4.2 참고 문헌 = 197
4.3 연습 문제 = 198
제10장 공시음운론의 쟁점
1. 형태소 교체의 공시성 = 203
1.1 공시성 판별의 필요성 = 203
1.2 공시성의 판별 기준 = 203
1.3 음운 규칙의 공시성 판별 = 205
1.4 형태소의 생산성 판별 = 207
1.5 공시성 판별의 어려움 = 208
2. 음운 규칙의 생산성 = 209
2.1 음운 규칙과 생산성 = 209
2.2 생산성의 판별 기준 = 209
2.3 생산성 판별의 어려움 = 210
3. 화석화된 활용형 = 211
3.1 화석형의 정의 = 211
3.2 화석화된 활용형의 유형 = 211
3.3 화석형의 음운론적 설명 = 214
3.4 화석형 설명의 어려움 = 215
4. 불규칙 어간 = 216
4.1 불규칙 어간의 정의 = 216
4.2 국어의 불규칙 어간 = 216
4.3 불규칙 어간의 음운론적 설명 = 219
4.4 불규칙 어간 설명의 어려움 = 221
5. 음운 규칙의 경쟁 관계 = 222
5.1 경쟁 관계의 정의 = 222
5.2 국어의 경쟁 중인 음운 규칙 = 222
5.3 경쟁 관계 설명의 어려움 = 223
6. 음운 규칙의 수의성 = 224
6.1 수의적 음운 규칙의 정의 = 224
6.2 국어의 수의적 음운 규칙 = 224
6.3 규칙의 수의성 설명의 어려움 = 225
7. 마무리 = 226
7.1 요약 = 226
7.2 참고 문헌 = 226
7.3 연습 문제 = 227
참고 문헌 = 231
부록 = 245
1. 표준 발음법 = 247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260
3. 문제 해설 = 266
찾아보기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