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장 머리말

2장 중요 문법서의 내용 분석
2.1. 도입
2.2. 주시경의 『말의 소리』

2.3. 김두봉의 『깁더 조선말본』
2.4. 小倉進平의 『國語及朝鮮語 發音槪說』
2.5. 안 확의 『수정 조선문법』
2.6. 박승빈의 『조선어학』
2.7. 최현배의 『우리말본』
2.8. 홍기문의 『조선문법연구』
2.9. 이극로의 『실험 도해 조선어 음성학』
2.10. 주왕산의 『말의 소리』
2.11. 심의린의 『음성 언어의 교육』
2.12. 이숭녕의 『국어학개설』
2.13. 이희승의 『국어학개설』
2.14. 허 웅의 『개고 신판 국어음운학』
2.15. 종합적 검토

3장 검인정 이전 시기(1946~1949)의 음운 교육
3.1. 도입
3.2. 박종우의 『한글의 문법과 실제』
3.3. 이상춘의 『국어 문법』
3.4. 이영철의 『중등 국어 문법』
3.5. 김윤경의 『고급용 나라말본』
3.6. 종합적 검토

4장 검인정 시기(1949~1965)의 음운 교육
4.1. 도입
4.2. 최현배의 『고등 말본』
4.3. 이인모의 『재미 나고 쉬운 새 조선 말본』
4.4. 정인승의 『표준 중등 말본』
4.5. 이숭녕의 『고등국어문법』
4.6. 정인승의 『표준 고등 말본』
4.7. 김민수 외의 『새 고교 문법』
4.8. 종합적 검토

5장 통일문법 검인정 시기(1966~1984)의 음운 교육
5.1. 도입
5.2. 통일문법 1기(1966~1978)
5.3. 통일문법 2기(1979~1984)
5.4. 종합적 검토

6장 국정 교과서 시기(1985~ )의 음운 교육
6.1. 도입
6.2. 국정 1기(1985~1995)
6.3. 국정 2기(1996~ )
6.4. 종합적 검토

7장 음운 교육과 표준 발음법
7.1. 도입
7.2. 표준 발음법의 제정 과정
7.3. 표준 발음법의 중심 내용
7.4. 음운 교육과 표준 발음법의 비교
7.5. 음운 교육과 표준 발음법의 관계

8장 음운 교육과 용어
8.1. 도입
8.2. 현행 음운 교육 용어의 검토
8.3. 음운 교육 용어에 대한 해설

9장 새로운 음운 교육안
9.1. 도입
9.2. 현행 문법 교과서의 문제점
9.3. 새로 제안하는 음운 교육안

10장 맺음말

[부록 1] 표준 발음법
[부록 2] 국정 교과서(2002년 간행) 음운편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