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묘지의 기념비성 = 9
Ⅱ. 한국의 장묘제도와 의례공간으로서의 묘지 = 17
1. 장묘제도의 역사적 고찰 = 17
2. 의례공간으로서의 묘지 = 32
Ⅲ. 제주 장법(葬法)의 역사적 전개 = 43
1. 조선시대 이전 = 43
2. 조선시대 제주의 장법 = 48
Ⅳ. 제주 무덤의 유형 = 63
1. 무덤의 개념 및 범주 = 63
2. 제주 무덤의 형태 = 66
3. 제주 무덤의 배치형태 = 76
4. 제주의 무덤 구조 = 78
Ⅴ. 제주의 산담문화 = 87
1. 시·공간을 넘어선 대지예술(Earth Art)로서의 산담 = 89
2. 제주 산담의 역사적인 조성 배경 = 92
3. 산담의 공간개념 = 97
4. 제주 산담의 유형 = 100
5. 산담의 축조방법 = 103
6. 산담의 구조 = 110
7. 산담의 미학(美學) = 115
Ⅵ. 제주 무덤의 석물 = 123
1. 망주석 = 123
2. 비석 = 125
3. 상석 = 128
4. 돌잔 = 129
5. 돌벼루 = 129
6. 장명등 = 130
7. 주기석, 향로석, 축판석 = 130
8. 혼유석 = 130
9. 토신단 = 131
10. 문관석 = 131
11. 동지석 = 138
Ⅶ. 제주의 장묘문화 = 145
1. 토롱(土壟) = 146
2. 출타해서 죽은 사람의 장례 = 147
3. 죽은 혼사(死婚) = 147
4. 아이의 장례 = 148
5. 함박제 = 148
6. 빗돌(碑石)마련 = 149
7. 개판(蓋板)마련 = 149
8. 철리(遷移) = 150
9. 이장된 묘의 석물처리 = 150
10. 골총(古家) = 150
11. 새각담 = 151
Ⅷ. 문화유산으로서의 제주 무덤 = 155
〈참고문헌〉 =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