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을 시작하며
표준어의 폭력 - 국민국가 내부의 식민주의
‘님’과 ‘씨’의 사회심리학
남과 북, 그 헌법의 풍경
「청산별곡靑山別曲」 - 흘러가며 튀어 오르기
외래어와의 성전聖戰 - 매혹적인 그러나 불길한 순혈주의純血主義
기다림 또는 그리움 - 4.19의 언어

이오덕의 『우리글 바로쓰기』 - ‘백성의 말’을 향하여
언론의 자유, 그 빛과 그림자
누리망의 어떤 풍경 - ''-다''의 압제에 맞서서
홍희담의 「깃발」 - 당파적인, 계급적인 5월의 언어
여자의 말, 남자의 말 - 젠더의 사회언어학
거짓말이게 참말이게? - 역설의 풍경
허영의 전시장 - 개인숭배의 언어
나는 ''쓰다''의 주어다 - 『김윤식 서문집』
새로운 사회방언? - 외국인들의 한국어
우리말 안의 그들 말 - 접촉과 간섭
텔레비전 토론 - 문화상품으로서의 정치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
한자 단상 - 그 유혹적인, 치명적인 매력과 마력
한글, 견줄 데 없는 문자학적 호사
최일남 산문집 『어느 날 문득 손을 바라본다』 - 굽이쳐 흐르는 만경강
''국어''라는 이름 - 자존과 유아
헌사 - 사랑과 우정, 또는 교태와 굴신
가르랑말과 으르렁말 - ''-빠''와 ''-까''의 생태학

(이하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