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차례 = 11
제1부 지역방언의 분화와 발달 = 17
제1장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유추적 확대와 화용론 = 19
1. 서론 : 움라우트의 파급 효과와 화자들의 재분석 = 19
2. 움라우트 자료 분석과 관련된 기본 전제 = 25
2.1 움라우트 실현과 비실현의 화용론 = 25
2.2 말의 스타일과 움라우트 = 30
3. 움라우트의 유추적 확대 = 35
3.1 유추적 확대형들의 전제와 화자들의 화용론적 전략 = 35
3.2 유추적 확대형들에 대한 종래의 관찰과 그 지역적 분포 = 43
4. 유추적 확대형 사용에 대한 세 명의 화자 중심의 事例 = 49
4.1 이봉원 노인의 벌교 방언 = 50
4.1.1 주격조사 ‘-이’에 의한 움라우트 현상 = 50
4.1.2 움라우트에 의한 유추적 확대형들의 유형 = 54
4.1.3 유추적 확대형 ‘사램’과 ‘나랙’의 상대적 사용 빈도수 = 56
4.2 화전민 이광용 노인의 중부방언 = 57
4.2.1 움라우트에 의한 유추적 확대형들의 유형 = 57
4.2.2 유추적 확대형 ‘사램’과 ‘영갬’의 상대적 사용 빈도수 = 60
4.3 이규숙 노인의 경기도 방언 = 62
5. 모음 전설화의 몇 가지 유형과 움라우트 기능의 '轉用' = 66
5.1 체언어간 모음의 전설화와 명사파생 접사 ‘-이’ = 66
5.2 동화주로서 ‘의>이’에 의한 움라우트를 거친 전설화 = 69
5.3 단어의 어휘적 강도에 따른 움라우트 실현에 의한 전설화 = 71
5.4 움라우트 기능의 ‘轉用’(expactation) = 74
5.4.1 언어 기능의 새로운 轉用 = 74
5.4.2 전설화에서 결과된 화용론적 기능의 轉用 = 77
5.4.3 화용론적 기능의 轉用에 대한 화자 중심의 사례 = 79
6. 결론 = 84
참고문헌 = 89

제2장 국어 방언과 방언사 기술에 있어서 언어 변이(variations)에 관한 연구 = 93
1. 서론 = 93
2. 문자 표기의 이탈 또는 변이 유형과 음운ㆍ형태론적 변이와의 관계 = 98
2.1 문자 표기의 변화에 대한 해석 = 99
2.1.1 포슈(砲手)>표슈>푀수 = 100
2.1.2 법(法)>볍, 머리(頭)>며리 = 104
2.1.3 –브터(附)>-우터 = 108
2.2 문자 표기의 교체와 음운론적 변이 = 114
3. 문헌 자료에 반영된 음운론적 變異의 과정과 '하여(爲)〉해여〉해'의 음성변화 = 119
3.1 ‘애’ 불규칙 활용에 대한 종래의 해석 = 119
3.2 ‘하여>해여’의 발달과 제1차 움라우트 현상 = 123
3.3 19세기 후기와 20세기 초엽의 지역방언에서 ‘하여>X>해’ = 130
4. 결론 = 136
참고문헌 = 139

제3장 국어 방언사에서 원순모음화 현상의 내적 발달과 개별 방언 어휘적 특질 = 143
1. 서론 = 143
2. 근대국어에서 원순모음화 과정의 전개 = 146
3. 내적 재구와 전기 중세국어의 원순모음화 = 150
4. '만져〉몬져'(先)의 변화와 원순모음화의 가능성 = 157
5. 후기 중세국어의 원순모음화 현상 = 166
5.1 양순 자음에 의한 역행과 순행 원순모음화 = 166
5.2 원순모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 178
6. 결론과 논의 : 원순모음화와 모음체계 및 방언 어휘의 특수성 = 183
6.1 원순모음화와 모음체계 = 183
6.2 음성변화와 개별 어휘의 특질 = 188
참고문헌 = 191

제4장 용언활용의 비생성적 성격과 부사형어미 '-아/-어'의 교체 현상 – 공시적 기술과 통시성의 문제 - = 195
1. 서론 = 195
2. 이음절 이하의 어간말 모음 '우'와 부사형어미 '-아/어'의 교체 = 199
2.1 모음조화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음절 어간말 모음 ‘우’에 대한 종래의 해석 = 199
2.2 다음절 어간모음 ‘우’의 본질과 모음조화 규칙 = 206
3.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에서 부사형어미의 교체와 현대 전라방언으로의 轉移 = 208
3.1 문헌 자료들의 성격과 언어 자료의 해석 방식 그리고 언어의 현실적 모습 = 208
3.2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경우 : 공시적 변이 현상 = 217
4. 활용형들의 보수성 : 전남 방언에서 '(춤)추-'(舞)의 경우 = 232
5. 결론 : 공시적 기술과 설명의 타당성 = 237
참고문헌 = 240

제2부 표준어의 형성과 방언 = 243
제5장 1930년대 표준어의 선정과 수용 과정에 대한 몇 가지 고찰 = 245
1. 서론 = 245
2. 음성변화의 점진적인 확대와 단어들의 개별적 특성 = 250
2.1 전설고모음화(구개모음화)와 표준어의 수용 = 250
2.2 움라우트와 표준어의 수용 = 262
3. 형태론적 과정과 과도교정의 유입 = 272
3.1 의미의 분화에 따른 형태 분화의 원칙 = 272
3.1.1 “말의 갈혀남”의 원리와 ‘가르치-’(敎)와 ‘가르키-’(指)의 분화 = 272
3.1.2 h-구개음화와 ‘써다’(退潮), ‘썰물’의 분화 = 276
3.2 접미사 ‘-이’의 첨가 = 280
3.2.1 ‘우’(上)와 ‘위’ = 280
3.2.2 ‘가가’(假家)와 ‘가게’: 비어두음절 ‘애>에’의 경향 = 290
3.3 과도교정형의 표준어 수용과 ‘갈퀴’(柴把子) = 297
4. 결론 = 307
4.1 단어들의 개별적 특성과 어휘 확산 = 307
4.2 음성변화의 실현형과 비실현형에 따른 형태의 분화 = 309
4.3 1930년대 서울말과 접미사 ‘-이’의 신분 = 310
4.4 과도교정형의 표준어 유입과 ‘갈퀴’(柴把子) = 311
참고문헌 = 313

제6장 詩語와 方言 - ‘기룹다’와 ‘하냥’의 방언 음운·형태론과 의미론 - = 317
1. 서론 : 시어로서 방언의 기능 = 317
2. 1920년대와 30년대의 시와 산문에 사용된 방언적 표기의 성격 = 320
2.1 개화기 이후 1930년대까지 표기법 제정의 과정과 문학어의 형성 = 320
2.2 1930년대 문학어와 그 관용적 표현 : 김영랑의 경우 = 323
2.3 한용운의 『님의침묵』에 반영된 1920년대 시어의 특성 = 331
3. 한용운의 시어 '긔루-/귀룹-'과 김영랑의 시어 '하냥' = 339
3.1 ‘긔룹-/긔루-’의 구어성과 의미 전이 = 339
3.1.1 음운·형태론적 측면 = 342
3.1.2 의미론적 측면 = 348
3.2 김영랑 시어에서 다의어(polysemy)로서의 ‘하냥’ = 351
3.2.1 ‘같이, 함께’의 뜻으로서 ‘하냥’과 ‘늘, 한결같이’로서 ‘하냥’ = 351
3.2.2 ‘하냥’의 통시적 발달과 문법화 = 358
4. 결론 = 363
참고문헌 = 366

제3부 방언 형태론과 文法化의 양상 = 369
제7장 중세국어 '-ᄂᆞᆫ 커니와'에서 공시적 방언형 '은(는)커녕' 계열까지의 통시적 거리 – 문법화의 한가지 양상 - = 371
1. 서론 = 371
2. '-은커녕'에 대한 공시적 기술과 논의의 대상 = 373
3. 어휘화(lexicalization)와 문법화의 과정 = 377
4. 중세국어 '-ᄂᆞᆫ 커니와'의 형성과 그 통사적 출현 분포 = 379
4.1 “NP1ᄂᆞᆫ 커니와 NP2이···+ 긍정 서술어” = 380
4.2 “종결어미 + 커니와” = 386
4.3 “조건이나 가정의 연결어미 + 커니와” = 392
5. 근대국어에서 '-ᄂᆞᆫ 커니와'의 발달과 확립 과정 = 394
5.1 16세기 국어에서 ‘ᄂᆞᆫ 커니와’의 통사적 기능의 변화 = 394
5.2 17, 8세기 국어에서 ‘-ᄏᆞ니와’와 ‘-커니와’에 대한 해석 = 397
6. 18, 9세기 후기 지역방언에서 '-은커니와'의 발달 = 401
6.1 ‘-은커니와’의 중세적 특질과 현대적 특질의 양면성의 존속 = 401
6.2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에서 ‘-은커니와/은컨이’의 특징과 대안적 표현 수단의 등장 = 404
6.3 ‘-커녕’의 출현과 문법형태소의 강화 = 408
7. 결론과 논의 : 역사적 정보가 공시적 현상의 이해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 410
참고문헌 = 417

제8장 아주낮춤의 종결어미 '-ㄹ다'와 예사낮춤의 '-ㄹ세/-ㄹ시/-시'의 형성과 방언적 발달 = 421
1. 서론 = 421
2. '-ㄹ다'의 기원과 통사적 특징 및 방언적 발달 = 423
3. 예사낮춤 '-ㄹ세'의 형성과 방언적 분화 = 443
4. 결론 = 451
참고문헌 = 454

제9장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처소격 조사 부류의 특질과 변화의 방향 = 457
1. 서론 = 457
2.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에서 지향점의 '-의로'와 낙착점의 처소격 조사 '의'와의 상관성 = 462
3. 처소격 조사 '-의'(으∾우∾이)의 분포와 '-에'로의 대치의 과정 = 471
4. 처소격 조사 '-의'의 단모음화의 방향 : '-으'와 '-이' = 480
5. 처소격 조사 '-여'의 역사성과 공시적 분포 = 489
6. 결론 : 굴절체계의 역사적 보수성 = 500
참고문헌 = 505

제4부 지역방언의 공시적 기술과 역사성
제10장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특질 몇 가지에 대한 대조적 고찰 – 중간본 『여사서언해』를 중심으로 - = 511
1. 서론 = 511
2. 초간본과 중간본 『여사서언해』의 전반적 특질과 번역 스타일의 차이 = 513
3. 중간본 『여사서언해』의 음운ㆍ형태론적 특질과 19세기 후기 전라방언 = 522
3.1 용언 어간말 자음 ‘ㅈ’의 마찰음화(ㅈ,ㅊ>ㅅ) = 522
3.2 움라우트의 실현 양상과 ‘드듸여>듸듸여’(遂)의 변화 = 528
3.3 존재사 ‘이시-/잇-’(有) 활용형의 변화와 ‘스>시’ 전설고모음화 = 537
4. 중간본 『여사서언해』의 방언 어휘적 특질과 19세기 후기 전라방언 = 549
4.1 ‘돍’(石) = 549
4.2 ‘어덕’(原, 崖) = 551
4.3 ‘뉘에’, ‘뉘예’(蠶) = 553
5. 결론과 논의 = 556
참고문헌 = 563

제11장 『춘향전』 異本들의 地域性과 방언적 특질 – 김병옥의 『츈향뎐』(1898)을 중심으로 - = 567
1. 서론 = 567
2. 김병옥(1898)에 반영된 음운론적 특질의 독자성과 상대성 = 572
2.1 비어두음절 위치에서 ‘ᄋᆞ’의 변화의 반사체 = 572
2.2 형태소 내부와 어간활용에서 ‘ㅸ’과 ‘ㅿ’의 반사체 = 577
2.3 구개음화와 체언 어간말 자음의 마찰음화 현상 = 580
2.3.1 구개음화 = 580
2.3.2 체언 어간말 자음의 마찰음화 = 587
2.4 움라우트 현상과 모음조화 = 591
2.4.1 움라우트 = 591
2.4.2 모음조화와 비어두음절 위치에서의 모음상승 o>u = 593
3. 김병옥(1898)에 반영된 형태ㆍ통사적 특질과 방언 어휘 = 599
3.1 형태·통사적 특질의 독자성과 상대성 = 599
3.1.1 미침법의 보조적 연결어미 ‘-기’ = 599
3.1.2 시간관계 연결어미 ‘-명, -명셔’ = 601
3.1.3 處格의 ‘-여’ = 604
3.1.4 유정물 체언의 與格 ‘-긔’ = 607
3.1.5 명사파생의 접미사 –i = 610
3.2 함북방언 어휘의 독자성과 상대성 = 614
4. 결론 = 617
참고문헌 = 620

제12장 『韓國方言資料集』의 성격과 한국어 지역방언의 實相 - 『한국방언자료집』 Ⅰ∾Ⅳ 완간에 즈음하여 - = 623
1. 서론 : 『한국방언자료집』 완간의 의미 = 623
2. 방언 자료 추출과 그 성격 = 625
3. 면담의 과정과 방언의 실상 = 629
4. 마무리 = 642

제5부 부록
제13장 언어 변이(Linguistic variations) = 647
1. 언어 변이와 언어 변항 = 647
2. 전통 방언학에서의 언어 변이 = 648
3. 언어 변이의 새로운 인식과 사회(도시) 방언학 = 650
4. 언어 변이의 수집과 말의 스타일의 활용 = 654
5. 언어 변이 연구의 의의 = 658
[그림 13-1] 일상적 말의 스타일에서 뉴욕시 성인 화자들의 사회 계층과 연령에서 r 실현 지수(Uriel Weinreich, Labov and Herzog 1968: 178에서 인용) = 660
[그림 13-2] 뉴욕시 성인 화자들의 모든 말의 스타일과 계층의 유형에 따른 r 실현 지수(Weinreich, Labov and Herzog 1968: 180에서 인용 = 661
제14장 한국어 방언사(方言史) 개요 = 665
1. 방언사의 영역과 그 한계 = 665
2. 방언사 연구의 방법과 문제점 = 671
2.1 방언 자료와 해석의 문제 = 671
2.2 방언사 연구에서 논의되었던 중심 과제 몇 가지 = 675
2.2.1 하향 이중모음 /oy/와 /uy/의 변화 과정 = 677
2.2.2 원순모음화와 재구된 모음체계 = 678
2.2.3 ‘ᄋᆞ’와 관련된 내적 재구와 방언 비교의 한계 = 680
참고문헌 = 683

제15장 방언과 波動說(Wave theory) = 685
1. 파동설이 언어연구 방법에 끼친 파장 = 685
(ㄱ) 방언학 = 686
(ㄴ) 변형 생성 이론 = 687
(ㄷ) 사회 언어학과 변이 이론 = 689
[그림 15-2] 변화의 파장 = 690
(ㄹ) 어휘확산의 가설(Lexical diffusion) = 692
[그림 15-4] 음운변화 수행의 기본 모형 = 693

2. 파동설과 계통수설(Family tree model)의 상호보완 = 694
참고문헌 = 697

찾아보기 = 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