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 책 싸움
“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고 인생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든》
1 호튼과 메이지
“아이고머니! 완전히 새로운 거잖아! 코끼리새라니!”
-닥터 수스, 《알을 품는 호튼》
2 책에 물칠하기


“나는 나 자신에게 성욕을 느낀다….”
-마그누스 히르슈펠트, 《성적 변칙과 도착》
3 파수꾼과 포효
“내 어린 시절은 책 속에 나오는 소년과 똑같았으며, 그 당시에 대해 말하게 되어 적지 않은 안도감이 들었다.”
- J. D.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
“놀라워라, 영혼의 저 불가사의하고 특별하며 찬란하며 지적인 호의는!”
- 앨런 긴즈버그, 《포효》
4 읽는 법 배우기
“교육의 첫 단계는 문학에 대한 사랑이 아니라 한 작가를 뜨겁게 찬미하는 일이다.”
- T. S. 엘리엇, [취향의 교육]
5 데카르트, 흄, 그리고 사랑의 기적
“하늘과 대기와 땅, 색채, 형태, 소리 같은 모든 외적인 요인들은 한낱 꿈같은 환각일 뿐이며, 그런 것들을 동원하여 이 존재가 쉽게 믿는 내게 덫을 놓은 것이라고 가정할 것이다.”
-르네 데카르트, 《명상록》
6 예이츠와 보낸 세월
“나는 결코 레다의 족속은 아니지만
한때 아름다운 깃털이 있었어.”
-W. B. 예이츠, [어린 학생들 사이에서]
7 달달한 맛과 시큼한 맛
“그래도 옥스퍼드에서, 이 아름다운 곳의 미와 감미의 한복판에서 가르침을 받은 우리는 진리를 포착하는 데 실패하지 않았다.”
-매슈 아널드, 《교양과 무질서》
8 언어의 형식과 삶의 형식
“모든 사람의 삶은 시시각각, 가장 황당한 책보다 더 황당해지고 있다. 제기랄, 그건 완전 사기다.”
-톰 울프, 《전기 쿨에이드 산성 실험》
“설혹 사자가 말할 수 있다 해도 인간은 그 말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9 옥스퍼드에서 분열된 자아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꾸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R. D. 랭, 《매듭》
10 뭘 할 것인가?
“해방 전략의 열쇠는 상황을 까발리는 데 있으며, 그렇게 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더할 나위 없이 뻔뻔한 말과 행동으로 학자와 전문가를 격분시키는 것이다.”
- 저메인 그리어, 《거세된 여자》
11 고도의 편성
“과거의 것을 없애기만 간절히 빌어야 한다,
새로운 것이 출현하기 전에, 그것이 설혹 자아일지라도.”
- D. H. 로런스, 《사랑에 빠진 여인들》
12 필요한 건 사랑뿐이라고?
“상품과 점수와 시험은 모두 올바른 인성 발달을 저해한다. 책에서 배우는 것이 교육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공론가들이나 하는 소리다. 그것은 젊음에게서 놀고 놀고 놀 권리를 박탈한다. 그것은 젊은이의 어깨에 노인의 머리를 얹는 격이다.”
- A. S. 닐, 《서머힐》
13 마틸다와 앨리스, 꼬마 릭
“마틸다는 자기 부모가 선하고 애정이 넘치고 이해력 있고 훌륭하고 지적인 분들이기를 원했다. 그런데 그들이 실제로는 그 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바로 그녀가 참고 견뎌야 할 일이었다. 그 일은 쉽지 않았다.”
- 로알드 달, 《마틸다》
14 에이어와 천사
“우리는 어떤 사람이, 어떤 문장이 제시하는 명제의 진실성을 확인하는 법을 알고 있을 경우(그 경우에 한해서) 그 문장이 실제로 의미를 갖는다고 한다.”
- A. J. 에이어, 《언어, 논리, 진리》
15 지름길
“이런 통찰은 평생에 한 번 찾아올 뿐이다.”
- 지그문트 프로이트, 《꿈의 해석》
16 문학보다 좋은 것!
“내가 해야 하는 그 일은 아주 중요한 거야. …… 네가 그걸 안다면 뭐가 문제인지 알 텐데.”
-칼 하이어센, 《이중의 불운》
17 ‘스파이캐처’와 킴 필비의 사라진 문서
“만일 내가 소설가가 되지 않았다면 희귀본 거래상이 됐을 것이다. 그 일은 끊임없는 보물찾기나 다름없으니까.”
- 그레이엄 그린
18 유유상종
“나는 여자가 사는 집을 보면 그녀에 대해 평범한 남자가 아는 것보다 세 배는 더 알 수 있소. 그것이 사실이라는 건 당신도 잘 알 거요. 그러니 내게 보내 보시오.”
- 토머스 해리스, 《양들의 침묵》
“살인에 매혹되는 일은 위험하다. 그것은 정신적이고 도덕적인 기능의 마비를 초래한다. 특징 없고 무익한, 실로 기이하기 짝이 없는 맹목 상태가 되는 것이다.”
-애나 게코스키의 《기계적인 살인: 1950년 이후 영국의 연쇄살인범》
19 ‘스테잉 업’과 버티
“학자로 훈련을 받은 나는 분석이 습관이 되어 있어서 그 대상이 소설이든 축구팀이든 어떻게 돼 가고 있는지를 어림해 보려고 합니다. 게다가 축구팀 팬이기도 하기 때문에 두려워할 일은 없다는 생각입니다.” 이렇게 나는 주절거리기 시작했다.
- 릭 게코스키, 《스테잉 업》
에필로그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키우나니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뒤섞나니
기억과 욕망을……”
옮긴이 후기
“그리하여 빛이 사라지고 밤이 드리워질 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