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 책을 펼친 독자에게

첫 번째 질문. 책을 읽지 말아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책 중독의 위험성∣생명력의 상실∣건강의 약화∣직접경험 기회의 축소∣설익은 지식인의 범람∣현실 부적응∣영성의 고갈∣자연으로부터의 소외∣책으로부터의 탈주∣그래도 책을 읽는 사람들

두 번째 질문. 그래도 책을 읽는 이유는 무엇인가?



‘위대한 개츠비’가 책을 읽는 이유∣본능으로서의 지식욕∣재미로서의 책 읽기∣세상의 온갖 기쁨∣우물 안 개구기 벗어나기∣책, 가장 속 깊은 친구∣책, 스승이 사라진 시대의 스승∣타자의 발견∣책, 창의성의 원천∣내 인생의 길 찾기∣나만의 세상 읽기∣시공의 초월 체험∣치유로서의 책 읽기∣영혼의 둥지 짓기∣그래도 책을 읽지 않는 이유∣내 인생의 책을 기다리며
세 번째 질문, 책 읽는 습관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책 읽어주는 사람들∣글 읽는 법 배우는 아이∣책을 안 읽고는 못 배기는 습관∣어린 시절 책과 친해지기∣책 읽게 하는 아버지들∣초등학생 시절 독서 습관 키우기∣책에서 멀어지는 중고생 시절∣대학 시절의 책 읽기∣성인이 되어서도 독서를 계속하려면

네 번째 질문.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세상에 좋은 책과 나쁜 책이 따로 있는가?∣책을 처음 만났을 때∣누가 좋은 책을 선정하는가?∣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우연히 읽게 된 책이 주는 현기증∣항성 같은 책과 유성 같은 책∣일시적인 책과 영구적인 책∣수험서와 실용서를 넘어서∣왜 소설인가?∣소설을 넘어서∣신간이냐, 고전이냐?∣고전이란 무엇인가?∣고전을 읽어야 하는 이유∣고전의 번역 문제∣고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읽어야 할 고전의 예들∣고전의 발명∣서양의 고전∣고전 읽기의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중국의 고전∣우리 고전을 찾아서∣고전과 신간 독서의 적절한 비율∣청춘의 시기,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내 인생의 책들∣전체를 사유하는 인문주의 독서

다섯 번째 질문. 책, 어떻게 읽을 것인가?

‘책을 읽었다’는 말의 의미∣책을 읽기 위한 마음의 조건∣책 읽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책들∣책을 잘 읽기 위한 계명들∣자신만의 책 읽는 법 만들기∣남독, 난독, 탐독∣다독, 속독, 정독∣통독과 정독의 상호 보완성∣수동적 독서에서 능동적 독서로∣책에 따라 변화하는 독서법∣마음의 자세∣핵심 파악하기∣행간에 숨은 의미 찾기∣다양한 사전 활용법∣때로 소리 내서 읽기∣프랑스, 낭독의 나라∣세계 여러 나라의 낭독문화∣인생의 사계에 따라 달라지는 독서법∣여러 권의 책 동시에 읽기∣몇 권의 책 반복해서 읽기∣‘맥락의 독서’∣읽은 내용 정리하기∣‘잠깐 독서’와 ‘폭풍 독서’∣독서 모임 만들기∣의미 창조로서의 독서∣인문학 독서법∣책 읽기에서 글쓰기로

여섯 번째 질문. 평생 얼마큼의 책을 읽을 것인가?

다다익선(多多益善)?∣1만 권의 책(萬卷書)∣다섯 수레의 책(五車書)∣1만 권 이상의 책을 읽은 사람들∣과유불급(過猶不及)?

일곱 번째 질문, 책은 사람과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책과 영상 매체∣독서와 문명화∣내면의 형성∣개인의 탄생∣공간의 변화∣타자의 발견∣불평등의 극복∣공론장의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