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국어 공부는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1부 ‘국어’란 무엇일까?
- 낱말에서 문장까지 차근차근 들여다보기

1장 언어의 특성과 국어의 음운을 이해하자
1. 언어의 특성: 규칙성, 사회성, 역사성, 기호성, 창조성
2. 국어의 음운: 모음과 자음
3. 음운의 변동
2장 낱말 공부는 국어 공부의 시작이다
1. 낱말과 형태소


2. 사동과 피동
3. 낱말의 의미: 다의어, 동음이의어, 유의어, 반의어, 관용어
4. 낱말의 형성: 단일어, 복합어
5. 낱말의 분류: 품사
3장 문장을 알면 국어가 보인다
1. 문장 성분
2. 문장의 짜임: 홑문장, 겹문장
3. 우리말의 문화적 특성과 가치
4. 중의적 표현
5. 방언과 남북한의 언어

2부 어떻게 듣고 읽어야 할까?
- 언어를 통한 이해와 감상

1장 제대로 듣고 깐깐하게 듣자
1. 듣기의 특성: 반언어·비언어적 메시지, 장면
2. 수업 들으며 메모하기
3. 광고 보며 설득 전략 파악하기
4. 뉴스나 심층보도의 비판적 듣기
5. 상황별 듣기: 대화, 회의, 토론
2장 비문학적인 글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1. 글을 읽는다는 것의 의미
2. 글의 내용 파악하기
3. 글의 맥락 읽기
4. 종류별 글 읽기
3장 문학적인 글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문학이란 무엇인가
2. 시가 내게로 왔다
3. 소설의 숲을 거닐다
4. 수필, 편지, 기행문
5. 희곡의 세계
6. 매체 읽기: 광고, 드라마, 영화, 뮤지컬

3부 어떻게 말하고 써야 할까?
- 언어 표현의 달인 되기

1장 쉽고도 어려운 말하기
1. 말하기의 특성: 반언어·비언어적 특성, 완곡어법
2. 대화 상대의 공감 이끌어 내기
3. 전통적 해학 이해하고 재담 활용하기
4. 토론과 토의하기
5. 매체 활용하여 발표하기
2장 삶의 양식이 되는 글쓰기
1. 글쓰기의 필요성과 목적
2. 글 쓰는 과정
3. 개인적 글쓰기: 일기와 편지
4. 문학적 글쓰기: 시와 소설, 수필과 기행문
5. 실용적 글쓰기: 서술형평가에서 서평까지
6. 매체를 활용한 쓰기: 문자메시지에서 소셜 네트워크까지

인용도서 및 참고도서 목록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