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 권의 책이 가져오는 변화, 그 상상을 초월하는 힘



1. 공부, 왜 해야 하지?





괜찮아, 공부가 가장 쉬웠던 사람도 있잖아

- 장승수 『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 구진아(이화여자대학교)



한 권의 책이 가져오는 변화, 그 상상을 초월하는 힘



1. 공부, 왜 해야 하지?



괜찮아, 공부가 가장 쉬웠던 사람도 있잖아

장승수 『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 구진아(이화여자대학교)



다시 시작한다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오히라 미쓰요 『그러니까 당신도 살아』 - 오경석(홍익대학교)



최상의 공부는 무지를 참을 수 없는 욕구에서 시작한다

장정일 『장정일의 공부』 - 은종훈(고려대학교)



미친 듯 좋아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 류란(고려대학교)



기능인으로 살아갈 것인가, 지식인으로 살아갈 것인가

장 폴 사르트르 『지식인을 위한 변명』 - 이재욱(서울대학교)



인생을 멀리 보면 공부도 편안해진다

미치 앨봄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 앙현주(고려대학교)



2. 내 꿈의 나침반



끝나지 않은 꿈, 헬레나식 인권수호를 향하여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오래된 미래』 - 정희창(서울대학교)



제 꿈이 뭐냐구요? 국민을 생각하는 대통령이요

데이비드 허버트 도날드 『링컨』 - 한성민(서울대학교)



꿈을 위한 첫걸음, 밑바탕이 되는 학문을 하라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 이준형(고려대학교)



누구나 한 가지 이상의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다

데이비드 오길비 『광고 불변의 법칙』 - 박혜현(School of Visual Arts)



꿈의 방향에 자신이 없다면 선배의 길을 따라가보라

한학수 『여러분, 이 뉴스를 어떻게 전해 드려야 할까요?』 - 김현성(연세대학교)



랠프와 사이먼 사이에서 인생의 길을 발견하다

윌리엄 골딩 『파리대왕』 - 홍선혜(연세대학교)



활자들이 톡톡 튀어올라 인생의 어디쯤 있는지 알려줄 때

조정래 『태백산맥』 - 조은경(고려대학교)



『퇴마록』이 있었기에 나의 ‘말세’는 오지 않았다

이우혁 『퇴마록』 - 조홍진(서울대학교)



열정을 깨우는 그때, 인생의 성공으로 돌아서는 터닝포인트

존 템플턴 『열정』 - 권시진(연세대학교)



3. 내가 잘할 수 있는 것



나는 소중한 존재, 내 삶의 목적을 이끄는 데로 가라

릭 워렌 『목적이 이끄는 삶』 - 조성호(대구가톨릭대학교)



시간 매트릭스, 급한 일보다 중요한 일을 먼저 하라

스티븐 코비 『소중한 것을 먼저 하라』 - 송혜영(이화여자대학교)



인생의 연금술, 인내와 가혹한 시련 후에 얻는 열매의 달콤함

파블로 코엘료 『연금술사』 - 김동건(서울대학교)



명심해, 너의 삶은 네가 만들어가는 거야

한비야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 정수양(서울대학교)



체 게바라, 삶의 자세를 바꿔준 ‘작은 혁명’

장 코르미에 『체 게바라 평전』 손국희(연세대학교)



항상 꿈을 꾸어라, 영혼은 꿈을 잃을 때 죽는다

전성철 『꿈꾸는 자는 멈추지 않는다』 - 박진광(서울대학교)



여성스럽지 못하다고? 여성스러움은 여자만의 것이 아니다

너대니얼 호손 『주홍글씨』- 유정이(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 듀크대학교)



붙잡을 수 있는 곳에 있는 희망, 나는 아직도 희망을 꿈꾼다

양귀자 『희망』 - 어유경(연세대학교)



이 정도의 시련? 굳은 의지만 있으면 이겨낼 수 있다

오토다케 히로타다 『오체 불만족』 - 이혁주(연세대학교)



그 모든 고민들이 짜내는 내 인생 양탄자의 무늬

서머싯 몸 『인간의 굴레』 - 변선영(이화여자대학교)



아무도 길을 알려주지 않을 때, 역사는 사막에서의 별이다

고우영 『십팔사략』- 김가영(이화여자대학교)



잘난 사람은 날 때부터 정해져 있다? 행복에는 의미 없는 유전자

데이비드 플로츠 『천재 공장』- 이지숙(연세대학교)



좌절을 겪었던 역사 속 위인들, 그들의 패배가 매력적이다

볼프 슈나이더 『위대한 패배자』 - 이수영(쿠퍼유니언)



4. 나와 다른 그러나 닮은



나와 다른, 그러나 닮은 당신들을 이해하라

에이미 탄 『조이럭 클럽』 - 박보란(서울대학교)



천국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토니 모리슨 『파라다이스』 - 이나래(서울대학교)



다른 사람과의 관계 개선을 원하는가, 자기애가 타인을 끌어들인다

이민규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 최호진(한국과학기술원)



카네기가 말하는 성공 비법, ‘최선을 다해 살라’는 단순한 진리

데일 카네기 『인생은 행동이다』 - 구도형(서울대학교)



5. 사막을 건너는 힘



모든 불행의 근원인 화, 화를 풀어야 행복이 온다

틱낫한 『화』 - 남지희(고려대학교)



나 아닌 것들의 배경이 된다는 것, 서로의 이름이 되는 존재의 행복감

안도현 『연어』- 박미란(이화여자대학교)



외로워하지 말아라, 너만 아픈 게 아니란다

무라카미 하루키 『상실의 시대』 - 황지우(서울대학교)



세상을 일찍 알아버린 슬픔, 그것이 주는 위안

은희경 『새의 선물』 - 신수영(고려대학교)



아 유 해피? 아무것도 없이 행복한 사람들

류시화 『지구별 여행자』 - 김소희(이화여자대학교)



영혼의 마음을 가꾸는 것, 자연의 이치를 찾아서, 꿈을 찾아서

포리스터 카터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 손은혜(고려대학교)



‘나 자신’이라는 작은 동굴에서 한 작가가 빚어낸 세계로

박경리 『토지』- 박정언(서울대학교)